본 연구의 목적은 방과후 음악줄넘기 프로그램의 음악에 관해 논의이다. 그동안 체육 분야에서만 논의되었던 줄넘기 운동이 음악줄넘기 운동으로 번지면서 어떤 특징을 갖게 되었는지 문헌 연구를 통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G광역시 방과후 프로그램에서 활동하고 있는 음악줄넘기 지도교사 6명을 면담 조사하였다. 즉 2013년 1학기의 방과후 활동에서 음악줄넘기 프로그램을 지도하는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지도교사가 대상이었다. 이들을 통해 음악줄넘기 수업지도안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특히 음악줄넘기에 활용하는 음악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음악줄넘기 지도안에는 구체적으로 음악에 관한 내용을 기술하지 않았으며, 음악줄넘기에 활용된 음악으로는 동요, 민요, 가요 등 학생들의 귀에 익숙한 악곡들이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현상은 줄넘기 동작 유형과 함께 반복해서 지도할 수 있도록 짧고 쉬운 악곡들을 선정했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뿐만 아니라 조성은 장조성이 많아 기존의 줄넘기 운동을 흥미롭고 즐겁게 할 수 있는 매체가 음악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육현장에서 유의미한 학습자료, 매체가 되기 위해서는 음악줄넘기에 활용하는 음악 또한 교육적인 가사와 그 근거가 덧붙여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후속연구에서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study is the discussion about the musics in the after-school musical jump rope program. The jump rope exercise only discussed in the area of physical education has spread the musical jump rope exercise, its characteristics are considered through reference research. This study has been investigated and interviewed with six teachers performing in the after-school program in G Metropolitan City. The subject of experiment was a teacher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structing the musical jump rope program as an extra-curricular activity. With the experiment, it was collected and analyzed the musical jump rope teaching plans. It is especially looked into the musics utilized in the musical jump rope centered on basic factors. The findings are that the musical jump rope teaching plan did not include the contents about the musics concretely, but the used musics were mostly melodies familiar to students such as children``s song, Korean Folk Song and K-Pop. The phenomenon lead to the conclusion that teachers selected the short and easy songs in order to teach them with the action types of jump rope repeatedly. Besides, It could be found that the musics were the medium making the existing jump rope excited and enjoyable due to the trend of many majors. To become meaningful materials and medium in the spots of education, The educational lyrics and their grounds should be added to the musics utilized in the musical jump rope. It will be expected that a succeeding study could deal with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