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82
216.73.216.182
close menu
사물인터넷 시대의 도래 : 현황과 전망
김종덕
연구총서 106권 1-213(213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2054495

WWW(World Wide Web) 서비스를 통해 인류의 삶에 큰 영향을 끼친 인터넷은 이제 스마트폰에 기초한 모바일 인터넷을 거쳐 사물인터넷의 시대로 나아가고 있다. Internet of Things(IoT)/Machine to Machine(M2M)이라는 약어로 표현되는 사물인터넷은 만물(萬物)이 정보통신기슐을 이용하여 지능적 관계를 형성하는것을 의미한다. 즉 언제(anytime),어디서나(anyplace),무엇이든(anything)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며 인간의 명시적 개입 없이도 주변 상황을 감지하고 통신하며 상호 협력하여 적절한 정보 처리와 제어를 수행하는 기슐과 서비스롤 의미힌다. 사물인터넷은 국가 경쟁력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표적 와해성(瓦解性) 기술(Disruptive Technology)로 평가받고 있으며 세계 주요국 및 기업들은 사물인터넷 시장 선도를 위한 핵심·원천 기슐 개발 및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다. 본 보고서는 최근 급격히 부상하고 있는 사물인터넷 전반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목표로 작성되었다. 이 보고서가 다루는 내용에는 우선 사물인터넷의 개념과 주요 서비스 예,시장 현황과 정책 동향 등 기술이 아닌 서비스 및 시장 동향을 포함한다. 이어 사물인터넷 실현을 위한 기술과 관련하여 표준화 동향, 핵심기술 요소인 사물인터넷 플렛폼 및 보안 기술 현황과 전망을 다룬다. 세부적으로 보면 우선 l 장에서는 사물인터넷의 기본 개념과 사물인터넷 기술을 응용한 대표적 응용 서비스들을 소개한다. 여기서 다루는 사물인터넷 융합 서비스는 크게 개인의 편의와 복지 증진을 위한 개인 중심의 사용인터넷 융합 서비스,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공공 사물인터넷 융합 서비스,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사물인터넷 산업 융합 서비스로 분류하고 설명한다. 여기에는 디지털 헬스케어(Digital Healthcare)라고 붙리는 보건·의료,스마트 홈(Smart Home), 스마트 카 (Smart Car), 스마트그리드(Smart Grid), 스마트 시티 (Smart City), 스마트 팩토리 (5mart Factory) 서비스 등이 포함된다. 2장에서는 사물인터넷 시장 현황과 정책 동향을 다룬다. 먼저 시장 현황에서는 사물인터넷의 발전 단계를 평가하고 포괄적인 시장 전망을 살펴본다. 이어 주요 산업 분야별 사물인터넷 성장 전망과 관련한 주요 기술 업체와 이들의 동향을 정리한다. 이어서 세계 주요국의 사용인터넷 관련 정책 현황올 살펴본다. 여기에는 사물인터넷 표준화 등을 주도하는 유럽연합,구글,애플 등의 혁신 기업이 시장을 주도하는 미국,거대 시장의 중국,일본의 사물인터넷 판련 정책 현황을 정리한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사물인터넷 관련 주요 정책 동향을 소개한다. 3장부터는 기술적 관점에서 사물인터넷을 좀 더 구체적으로 다룬다. 3장에서는 먼저 사물인터넷 기술 표준화 동향을 살펴본다. 사물인터넷 표준과 관련한 전반적 상황을 고찰해보고 주요표준화 기구의 사물인터넷 표준화 동향을 정리한다. 4장에서는 사물인터넷 실현의 근간이 되는 사물인터넷 네트워크 기술 현황과 전망에 대해 다룬다. 이 장에서는 코어망,접속망,IoT/M2M 영역망 등으로 구성된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의 주요 구조 및 역할을 설명한다. IoT/M2M 영역망을 위한 네트워크 분야 핵심 연구 분야인 WSN을 개념과 주요 연구 이슈,ZigBee, IEEE 802.11ab를 비롯한 최신 관련 기술을 소개한다. 사물인터넷 비전의 실현과 원활한 동작을 위해서는 기존 코어망,접속망을 사물인터넷 서비스 및 트래픽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는 사물인터넷 서비스만을 위해 필요한 것이 아니라 기존 네트워킹 서비스의 안정적 제공을 위해서도 긴요하다. 무선이용통신망은 사물인터넷 서비스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보이는데 사물인터넷 서비스와 트래픽 특성을 고려한 최척화 등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무선이동통신망 기술 요구 사항과 연구 동향,그리고 3GPP의 단말 간 통신 기술표준 등을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구체적인 사물인터넷 서비스 관련 기술 사례로 AMI와 무선인체센서네트워크 기술을 소개하고 설명한다. 5장에서는 사물인터넷 생태계에 있어 핵심이 될 사물인터넷 플랫폼 기술 현황과 향후 전망에 대해 다룬다. 이를 위해 먼저 사물 인터넷 플랫폼의 개념을 설명하여 사물인터넷 하드웨어/디바이스 플랫폼,공통 기반 플랫폼, 응용 서비스 플랫폼, 지능형 플랫폼 등으로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분류한다. 그리고 분류한 플랫폼 별로 필요한 주요 기능을 정리하고 관련한 기술 개발 현황을 정리한다. 6장에서는 사물인터넷 활생화에 가장 걸림돌이 되고 있는 사물인터넷 보안 위협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사물인터넷 보안 기술의 현황과 향후 전망에 대해 다룬다. 구체적으로는 사물인터넷 보안 위협 사례를 살펴보고 기존 인터넷 환경과 구별되는 사물인터넷 보안 위협의 특성을 소개한다. 그리고 사물인터넷을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 요소 별 보안 위협을 정리 한다. 이어 사물인터넷 보안 요구 사항을 디바이스 계층, 네트워크 계층, 응용/서비스 계층으로 구분하여 정리한다. 그리고 이둘에 대한 보안 기술 개발 현황을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사물인터넷 보안 기술의 향후 발전 전망에 대해 다룬다. 마지막 7장에서는 전체 보고서를 요약하고 결론을 맺는다. 이 보고서는 앞서 밝혔듯이 최근 급격히 부상하고 있고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사물인터넷이라는 매우 큰 융합 산업 분야를 시장, 서비스, 기술 등을 아울러 포괄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작성하였다. 이를 위해 저자는 사물인터넷과 관련한 최신의 기술 및 시장 자료를 획득하고 정리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 보고서를 통해 독자들이 사물인터넷과 관련한 최신 현황을 접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물인터넷 전반에 대한 포괄적 이해 및 향후 전망에 대한 통찰력을 가지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