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52.15.50.169
52.15.50.169
close menu
}
KCI 후보
『퇴계전서』에 나타난 독서병통의 증세와 요인
The Symptom and the Reason of Byungtong in Reading Shown in Toegyejeonseo
신태수 ( Tae Soo Shin )
국학연구론총 7권 37-83(47pages)
UCI I410-ECN-0102-2015-900-002063292

退溪는 讀書病痛의 큰 줄기로 □苗助長, 思慮紛擾, 無覺不輟, 反涉私意骨倫呑棗를 든다. 큰 줄기 독서병통은 각기 유래와 연원을 달리 한다. 孔子, 二程子와 張子그리고 朱子의 논의에서 병통의 명칭을 인출하기 하기 때문에 유래와 연원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 어느 병통이든 인격을 완성하는 데 걸림돌이므로, 그 증세가 만만치 않다. 독서병통의 증세는 모두 20개이다. 증세 간에 겹쳐지지 않으니, 문집에는 환자 20이 등장한 셈이다. 20명이 곧 증세의 개수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큰 줄기 독서병통이 각이하다는 점을 상기할 때, 병통이 같아도 환경·기질이 다르면 증세도 달라진다는 추리가 가능하다. 독서병통은 전이 속도가 매우 빠르다. 어느 한 가지 병통을 앓으면 손쉽게 다른 병통으로 이어진다. 독서병통의 종합적 증세는 ‘마음의 기능 상실’이다. 이런 증세는 心의 내·외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한다. 靜은 지니되 動을 다스리지 못하거나 動을 다스리기는커녕 靜조차 지니지 못하는 경우가 전자이고, 形氣의 人欲이 天理와의 교통을 가로막는 경우가 후자이다. 心의 내적 요인에서 나타나는 主靜의 미진입 단계와 心의 외적 요인에서 나타나는 物物의 濁·駁이 하나로 합쳐질 때 가장 심각한 독서병통이 형성된다. 문집에서 최다로 오르내리는 알묘조장이 이에 해당된다.

Toegye pointed out that Byeongtong in reading can be specified into Almyojojang, Saryeobunnyo, Mugakbulcheol, Banseopsaui, Gollyuntanjo. They have different origin and source. As the names of Byeongtong were drawn in the discussions of Gongja(孔子), Jungja(程子), Jangja(張子), and Juja(朱子), the origin and the source are supposed to be different. Whatever the Byeongtongs are, their symptoms are serious because they are obstacles to perfect the reader``s character. The symptoms of Byeongtong in reading are 20 in total. As there are not overlapping contents between the symptoms, figuratively speaking, 20 patients appeared in the book. However, the 20 patients themselves does not mean just the number of the symptoms. If we consider the difference of each Byeongtong, it is possible to say that, even though the Byeongtong is same, if the environment. disposition is different, the symptoms becomes different. Byeongtong in reading spreads so fast that one Byeongtong is led to other Byeongtongs. The overall symptom of Byeongtong in reading is ``loss of function of mind``, which is resulted from the internal. external elements of mind. The former refers to a case of seizing Jung, but of not seizing Dong, or to a case of not seizing Jung even, to say nothing of seizing Dong. The latter refers to a case that Inyok of Hyunggi blocks the communication with Chunri. The most serious Byeongtong in reading is formed when the step of nonentry of Jujung shown in the internal element of mind and the Tak.Bak of things and matters shown in the external element of mind are combined into one. Almyojojang, which mentioned most frequently in the book, corresponds to tha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