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4.97.63
3.144.97.63
close menu
}
마고문화로 다시 찾는 동아시아 고대사와 한국역사
The Mago gynecocratic queendom and East Asian countries
황혜숙 ( Hyo Sook Hwang )
국학연구론총 6권 189-223(35pages)
UCI I410-ECN-0102-2015-900-002063247

우리는 실제의 역사와 기록된 역사의 차이를 구별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역사는 사가의 관점에 따라서 다르게 기록되고, 역사기록이 반드시 역사의 진실을 대변하는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중국인이 쓴 동아시아 고대역사는 부도지 와 환단고기 의 역사와 판이하게 다르지 않은가? 중국의 역사는 마고문화를 창조하고 수호해 온 상고대 한국역사를 부인하는 것에서 시작하나. 중국적 민족주의 혹은 팽창주의 사가들은 마땅히 중국 이전의 마고문명을 부인해야 했는데, 그래야만 한국의 상고사도 고스란히 지워 버릴 수 있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마고문화와 한국 상고사를 지워 버린 후 고대 중국 사가들은 동아시아 역사가 마치 중국 가부장들에 의해서 시작된 것처럼 조작해 왔다. 역사가 논증될 수 있는 연구에 의해서 하나의 사실로, 다시 말하면 객관적으로 기술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일은 너무 순진한 것이다. 중국과 일본의 지성인들이 기록한 가짜 역사가 ‘논증’이 되어서 정사로인정되고 있지 않은가? 역사는 항상 그러했듯이 누가, 언제, 무엇을 목적으로 하느냐에 따라서 다르게 쓰인다. 필자의 논지는, 한국인이고대 한국인의 마고문화의 관점에서 한국역사와 동아시아 고대사를 다시 쓰자는 것이다. 중국과 일본 역사가 정사가 되는 한, 한국의 고대사와 문명은 말살, 축소, 왜곡, 강탈을 당하고 있는 셈이다. 실제로역사기록의 힘은 또한 국가 경제력과도 관계가 있다. 경제력을 가지고 일본인은 지식인들을 생산해 냈고, 그 지식인들은 미국과 구미의 대학에서 일본적 관점에서 쓰인 동아시아 역사와 문화를 전파해 왔다. 일본의 기록된 역사는 A.D. 5세기경에서 시작되는 것이 전부이니, 일본인 학자들은 중국의 고대사를 빌어서 일본이라는 민족국가와 문명의 시작을 설명해 왔다. 전 지구적으로 파산된 가부장적 국제정치와 외교제도는 경제력과 군사력을 통해서 ‘진리’를 만들어낸다는 사실을 새겨야 한다. 예를 들어, 필자가 박사 학위를 끝내고 미국 대학에서 교직을 찾으면서 알게 된 사실은, 일정한 기금을 기부하면 미국에 있는 명문 대학에서 종신 교수직 자리를 하나 만들 수 있으며 원하는 과목을 가르칠 수 있다는 점이다. 일본인 학자들이 이런 식으로 미국과 유럽의 학계로 진입했음은 명백하다. 이 시점에서 한국인은 진실과 경제력둘 다를 사용해 잃어버린 마고문화의 역사를 되찾고 동아시아 역사를 바로잡아야 할 것이다. 21세기의 지구적 가부장사회 공동체에서 개개인은 민족 단위로, 국가 단위로 인식된다. 따라서 한국인은 누구나 국제사회에서 한국이라는 민족, 한국이라는 나라가 어떻게 알려져 있느냐에 따라서 평가된다. 국제사회를 움직이는 힘은 겉으로는 정치적, 경제적 힘에 의존한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국제정치, 국제경제를 움직이는 주체는 민족과 국가를 대표하는 개인들이다. 쉽게 말해서, 역사와 전통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가진 나라의 개인들은 쉽게 국제사회에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역사와 전통문화가 알려지지 않은 나라의 사람들은 언제나 부모 없는 아이처럼 보호 받지 못한다. 한 민족이 어떤 역사를 가지고 있는가와는 별개로, 국제사회에서 어떤 역사를 가지고 있다고 발표하 느냐에 따라서 그 민족의 정체성이 규명되고 그 민족의 위치가 결정된다. 자신의 역사를 자랑스러워하는 민족은 세계에서 당당한 민족이 된다. 우리가 미래에 어떤 한국인이 될 것인가는, 우리가 얼마나 충실하게 우리 역사와 전통문화를 되찾아 밝히는가에 달려 있다. 한국인이 잃어버린 역사를 되찾는 일은 시급한 과제이다. 국제 학계에서 한국 인문학이 얼마나 저조하고 비참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가를 인식하는 사람이 별로 없고, 또 그러한 상황에 대해서 깊이 한탄하며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지성인도 별로 눈에 뜨이지 않는다. 오늘날 많은 한국인이 구미에 유학을 하고 있지만, 국제학계에서 차지하는 한국의 인문학의 자리가 얼마나 구차하고 미미한지를 알고 돌아가는 한국인은 별로 없다. 왜 한국인이 이렇게 되었단 말인가? 동시대의 한국인은, 한국 역사는 물론 한국의 신화, 한국의 인류학, 한국의 고고학, 한국의 문학, 한국의 종교학, 한국의 여성학을 다시 세우는 일이 얼마나 절박한 과제인가를 인식해야 한다. 필자가 마고문화의 문맥에서 한국이라고 말할 때는 민족주의적 의미로서의 한국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 대해서 앞에 언급하였다. 필자는 마고문화의 연구자로서, 한국인이 궁극적으로 마고문화를 새로 밝히는 한국 인문학을 세계에 세우게 되는 날, 그때 인류의 지성과 도덕이 진일보할 것이라고 말한다. 이것이 바로, 마고문화의 유산을 이어받았던 고대 한국인이 세세대대에 걸쳐 전하고자 했던 한국인의 인류에 대한 사명이다.

Ma Gu (Chinese: 麻姑; pinyin: M?g?; Wade-Giles: Ma Ku; literally "Hemp Maid") is a legendary Taoist xian (仙"immortal; transcendent") associated with the elixir of life, and symbolic protector of females in Chinese mythology. Stories in Chinese literature describe Ma Gu as a beautiful young woman with long birdlike fingernails, while early myths associate her with caves. Ma Gu xian shou (麻姑獻壽"Ma Gu gives her birthday greetings") is a popular motif in Chinese art. Accurately translating Ma Gu into English is problematic, depending upon whether she was a "maid", "priestess", or "goddess" of "hemp", "marijuana", or something else. Victor H. Mair (1990) proposed that Chinese wu (巫"shaman"), pronounced *myag in Old Chinese, was a loanword from Old Persian *magu? "magician; magi", hypothetically comparable with Ma Gu. Chinese Ma Gu (麻姑) is called Mago in Korean and Mako in Japanese. Mago (마고, 麻姑) is a cosmogonic goddess in Korean creation myths. Hwang (2004:1) calls her "the Great Goddess" and proposes "Magoism, the archaic gynocentric cultural matrix of East Asia, which derives from the worship of Mago as creatress, progenitress, and sovereign." According to the Budoji, Korean mytho-history began with the "Era of Mago." Japanese Mako (麻姑) is usually a literary reference to the Chinese story (below) about Ma Gu``s long fingernails, for instance, Mako s?y? (麻姑?痒 "Ma Gu scratches the itch") metaphorically means "things going like one imagined". [edit] Cultic origins While Ma Gu folktales are familiar in East Asia, the sociologist Wolfram Eberhard (1943, 1968:123-126) was the first Western scholar to analyze them. He categorized Ma Gu under a cultural chain of Yao love songs and festivals. Based on references in Chinese texts, Eberhard proposed two centers for the Ma Gu cult, in the present-day provinces of Jiangxi and Hubei. Evidence for an "original cultic center" (1968:124) near Nancheng (南城) county in southwestern Jiangxi includes several place names, including two mountains. The famous Ma Gu Shan (麻姑山"Ma Gu Mountain") is located in Nancheng, and Taoists regard its Danxia Dong (丹霞 洞"Cinnabar Cloud Grotto", see Hahn 2007:29-30) as the 28th of 36 sacred dongtian (洞天"Grotto-heavens, heaven-reaching grottos"). The famous Tang Dynasty Daoist calligrapher Yan Zhengqing visited Mt Magu and inscribed the Magu Shan Xiantan Ji (痲姑山仙?記"Record of the Mountain Platform where Magu Ascended to Immortality"). A second Ma Gu Mountain is located in Jianchang county (建昌, near Nanfeng 南?). Ma Gu Wine (麻姑酒) is made in Jianchang and nearby Linchuan. In addition, Ma Gu is an alternate name for Hua Gu (華姑"flower maid") Mountain in Xuancheng county of Anhui. Evidence for a secondary area for the Ma Gu cult in Hubei includes the Song dynasty temple near Hankou, along with the Ma Gu Temple on Mount Heng. Several early folktales from Sichuan province associate Ma Gu with caves and one describes a shaman who invoked her. Regarding the traditions that she was born in Jiangxi and became an immortal xian in Shandong, Eberhard says. This ascent to heaven, typical of Taoists, connects her with the immortal saints, and indeed she is regarded as a symbol of long life and rebirth, and therefore in the Chinese drama, appears a good omen during birthday celebrations. (1968:124) Ma Gu can be literally translated "Hemp Goddess/Priestess". The Way of Infinite Harmony is a modern Taoist sect that worships Ma Gu and espouses the spiritual use of cannabis. Hellmut Wilhelm``s book review (1944:213) of Eberhard``s original German book (1943) suggested that Ma Gu was associated with cannabis. Eberhard dismissed this hypothesis in the English vers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