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아육왕전>은 《석보상절》제24와 《월인석보》권25에 실려 최근에 발견된 국문 서사문학이다. 이 작품은 인도의 문화사나 불교사상에서 워낙 저명한 ‘아쇼카왕’ 즉 아육왕의 전기를 바탕으로, 유구한 전승과 분명한 계통을 거쳐, 불교계 문사에 의하여 형성·전개되었다. 이 작품은 그 자체가 불교계의 전기나 서사문학 내지 예술적 대본의 실상을 갖추었다. 그리하여 이 작품을 문학론에 입각하여 여러 모로 고찰하게 되었다. 이 작품은 15세기 한국문학·국문문화의 정화인《석보상절》·《월인석보》의 말권에 실림으로써, 그 형성 경위와 역사적 좌표가 확인되었다. 이 작품은 《월인석보》에 이르러 월인곡의 운문과 상절부의 산문, 협주 세문이 조화롭게 교직되어 장편의 입체적인 종합문학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 작품을 장르론에 따라 분석·고찰하니, 여기서는 국문장편소설과 함께 국문장편희곡, 그리고 분화된 월인곡과 삽입가요를 망라한 국문시가, 협주 세문으로 된 국문수필이 분리·성립되어 나왔다. 게다가 이 작풍의 장르들은 또한 불교계의 연행예술에 의하여 공연될 운명을 스스로 갖추고 있었다. 따라서 이 작품은 15세기 국문문학, 국문시가·국문수필·국문소설·국문희곡의 주심부를 이루어, 그 전범이 되었다. 그러기에 이 작품은 불교계와 왕실의 주도하에 간행된 위 두 문헌을 통하여 널리 유통·전파됨으로써, 후대의 국문문학사 - 한국문학사 상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던 것이다. 나아가 이 작품은 불교계 공연예술사 - 한국공연예술사 상에도 상당한 공헌을 했으리라 추정된다.
The biography of King Ashoka (아육왕전)(304 BCE - 232 BCE), recently discovered in Korea, is a vernacular literature. It is found in both Sokposangjol(서보상절) (Detailed Contents of the Life History of Sakyamuni), volume. 24 and Worinsokpo(월인석보) (The Moon’s Reflection on the Life of Sakyamuni), volume. 25. It deals with the biographical record of King Ashoka, who as one of India’s greatest empero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Indian culture as well as Buddhist philosophy. It is written by an anonymous Buddhist scholar-writer, taken a form of Buddhist hagiography. However, the significance can be also derived from its value as literary narrative and artistic drama. In this article, I attempt to analyze the text of the biography from a literary perspective. This biography is compiled in the last chapter of Sokpo sangjol and Worinsokpo in the 15th century Korea. In particular, the biography in Worinsokpo is characterized by the interwoven of verses, narratives, and supplementary commentaries I nbetween . Interms of genre, this biography contain savariety of sub-genres in cluding vernacular Korean fiction, plays, poem-songs, and essays of commentaries. Also, it appears to have been performed in Buddhist rituals and traditional performin garts in Korea. The biography of King Ashoka embodies a prototype of the 15thcentury Korean literature : poem-songs, miscellany writings, fiction, and drama. It was constructed and circulated in Buddhist society and royal families but spread to a wider range of audience, and it serves to inspire the following generation of vernacular literature This study reveals that this biography had a great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Buddhist-Korean performing a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