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1
18.97.9.171
close menu
<몽옥쌍봉연록> 연작 연구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차천기합>의 작품적 연계성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Sequence novel of Mongokssangbongyeonnok - Focusing on the correlation of Mongokssangbongyeonnok, Kwakchangyangmunnok, Ch`ach`ongihap
최길용 ( Gil Yong Choe )
국학연구론총 vol. 2 66-109(44pages)
UCI I410-ECN-0102-2015-900-002062871

본고는 3부연작 형태로 창작된 장편소설 <몽옥>ㆍ<곽장>ㆍ<차천>의 작품적 연계성을 소설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들 곧, 표제ㆍ서두ㆍ결미ㆍ배경ㆍ인물ㆍ사건ㆍ주제를 중심으로 고찰한것이다. 그 결과, 1) 연작을 이루는 세 작품은 각각 그 표제를 달리할 뿐 아니라, 그 서두와 결미도 각각 소설적 완결성을 갖추고 있어서, 따로 떼어 놓으면 저마다 하나의 독립된 작품으로 기능할 수 있다. 2) <몽옥>에는 여러 곳에 연작기록들을 두어 후편 <곽장>ㆍ<차천>에 대한 예고와 그 대강의 내용을 미리 밝혀 둠으로써 이 작품들에 대한 독자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있다. 그런데 이 연작기록은 작자가 후편들에 대한 분명한 연작의도를 갖고 작품을 창작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어 세 작품의 작자가 동일인이라는 사실을 반증하고 있다. 3) 배경면에서, <몽옥>ㆍ<곽장>ㆍ<차천>은 모두 동일한 공간ㆍ시대ㆍ가문적 배경을 설정하고 있다. 또 사회ㆍ사상적 배경과 세계구조에 있어서까지도 동일한 배경을 설정하고 있음으로써, 작품적 동질성은 물론 강한 작품적 연대성을 형성하여 하나의 세계를 향해 통일되어 있다. 4) 인물면에서, <몽옥>ㆍ<곽장>ㆍ<차천>에는 동일인물들이세 작품에 계속해서 등장하여 연속적인 삶을 演行해 가고 있고, 또 이를 통해 연작관계가 보다 분명하게 제시되면서, 작품간 연대성이 보다 강화되고 있다. 5) 사건면에서 보면, <몽옥>의 속편들인 <곽장>과 <차천>은 <몽옥>에서 서사된 곽ㆍ장 두 가문의 이야기를 이어서 사건을 전개해가고 있다. 따라서 <곽장>이나 <차천>의 많은 사건들은 전편인 <몽옥>의 사건에 꼬리를 물어 전개되고 있고, 또 <몽옥>의 사건들이 두 작품에서 빈번하게 회상ㆍ환기되기도 한다. 그런데 이것은 전ㆍ후편의 연계성을 강화하는 기능을할 뿐 아니라, 독자의 작품에 대한 이해와 친밀감을 높이는 데도 기여하고 있다. 6) 주제면에서는, 세 작품이 모두 충ㆍ효ㆍ열과 같은 유교적 윤리규범의 수호와 처첩간의 화목ㆍ투기징계, 그리고 공명추구ㆍ가문창달 등의 주제를 반복해서 강조하고 있다. 이렇듯 세작품은 동일한 주제를 추구하고 있음으로써, 같은 주제를 향해 통일되어져 있는 하나의 작품으로 간주될 수 있다. 한편 <몽옥>연작은 작품이 <몽옥>-<곽장>-<차천>으로 이어지면서, 작품의 서사축이 되는 중심가문이 ‘장문-곽문-장문’으로 이동하는 연작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런데 이처럼 작품이 이어지면서 중심가문의 변동이 일어나는 경우가 이 <몽옥>연작 외에도 <명주보월빙>연작과 <옥원재합기연>연작이 더 있어, 본고에서는 이들을 ‘가문변동형 연작’이라 하여, 이러한 변동이 일어나지 않는 ‘가문계승형 연작’과 대응되는 개념으로 그유형을 분류하였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literary components such as subject, introduction and conclusion, background, characters, events, and the theme of trilogy novels of Mongokssangbongyeonnok, Kwakchang yangmunnok, Ch’ach’ongihap to define how each work is associated with one another. It draws conclusions as below: First, each of the three novels not only has its own title but also stands as a single fictional work with introduction and conclusion. Thus, each can function as an independent literary work. Second, Mongokssangbongyeonnok contains a few number of miscellaneous writings aimed to provide a preview and outline of Kwakchang yangmunnok and Ch’ach’ongihap. Those miscellaneous records serve to stimulate readers’ curiosity of the following works and verify the fact that three novels were written by one single writer. Third, in terms of background, the three novels share the settings of the identical geographical space, time-period, and family background. The novels, by sharing iden tical elements of background, present one unified world. Fourth, in terms of characters, the three novels also share the same characters whose life story continues to be described from one novel to another, which reveals how closely the novels are associated with each other. Fifth, the major events described in Kwakchang yangmunnok and Ch’ach’ongihap tend to ensue or develop from the stories of Kwak and Ch’a families in the preceding work of Mongokssangbongyeonnok. The literary devices of recollecting and repeating of presented events help readers to understand the storyline and familiarize themselves with the novels. Sixth, in terms of theme, three novels uphold the value of the Confucian moral principles of a subject’s loyalty, a child’s filial piety, and a wife’s faithfulness. Also, the theme of the novel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wives, reprimand for the feelings of jealousy, pursuit of public reputation, and prosperity of one’s family. Thus, the three novels can be considered as one single novel. On the other hand, the focus of these sequence novels shifts from Chang to Kwak families and from Kwak to Chang families, while the story develops from Mongokssangbongyeonnok to Kwakchang yangmunnok and Ch’ach’ongihap. The change of the focused family is also taken place in other sequence novels such as Myongju powolbing and Okwonjaehapkiyon. This article categorizes those novels into "sequence novels of family shift" to distinguish from "sequence novels of family success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