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고소설의 본격적인 출발은 조선시대 초기부터인데, 그이전 수세기부터 많은 설화가 기술되어 왔다. 이렇게 설화 기술을 해오는 동안이 바로 고소설의 수련 기간이었으며, 이 기간에 중국 소설문학은 눈부신 발전을 거듭했다. 그런데 이때는 우리말을 기록할 문자 수단이 중국의 한자뿐이었으므로, 중국소설의 발전은 곧 고소설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중국 소설 발전에서 한 가지 특징은 이미 있던 이야기에서 제재나 소재를 얻어 演義확대시켜 새로운 이야기를 재구성해왔다는 사실이다. 이점은 중국 정통학문인 儒學에서 공자가 ‘述而不作’이라고 피력한 학문풍토와 깊은 관계가 있다. 이 학풍은 역시 유학을 학문바탕으로 삼아왔던 우리나라에도 큰 영향을 끼쳐, 우리 고소설도 많은 작품이 이미 있던 이야기에서 소재를 얻어 새로운 작품을 생구성하고 있음을 보게 된다. 이 점에 유의하여 본 연구는 먼저 설화문학에서 연의 확대발전하여 새로운 작품이 만들어지는 예를 고찰해보고, 나아가 몇편의 고소설 작품에서 설화소재를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가 하는 점을 살펴보려는 것이다. 먼저 문헌설화에서의 예를 보면 다음과 같다. (1) 무미건조한 이야기를 확대 연의하여 재미있게 재구성하고 있는데, 중국의 ‘不識鏡’ 이야기를 예로 들어 고찰했다. (2) 주제를 다르게 바꾼 경우를 볼 수 있는데, 건망증 심한 관장에 관한 설화와 방귀 이야기를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3) 여러 설화를 모아 재구성한 경우가 있는데, 조선 태조의 조상들인 목조·익조·도조 관련 이야기가 조선 중기에 하나의 설화로 합쳐진 예를 제시하여 고찰했다. (4) 사건의 진전에 따라 새로운 이야기를 계속 이어가는 경우가 있으니, 인평대군 이야기를 예로 들어 고찰하였다. 다음은 고소설에서 이미 있던 설화소재가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가 하는 점을 고찰했는데, 널리 알려진 4작품을 고찰 대상으로 삼았다. (1) 『최고운전』에서는 중국 이야기인 맹수탈처소재를 이용하고 있는데, 흰털원숭이를 황금색돼지로 바꾸고 그 처치과정을 달리해 새롭게 구성한 내용을 고찰했다. (2) 『운영전』의 惡奴特은, 중국의 崑崙奴磨勒이라는 忠奴이야기를 소재로 이용한 것으로, 그 개변 이용된 양상을 고찰하였다. (3) 『이춘풍전』에서 주인공이 기생집에 들어가 재물을 다 잃고 기생집 종살이를 한다는 소재는 우리 문헌설화에 기술되어 있는 이야기를 일부만 이용했다는 사실을 지적했다. (4) 『장화홍련전』에서의 원귀신원소재는 문헌설화에 실려 있는 원귀신원 이야기를 어떤 점에 중점을 두고 이용한 것인지를 밝히었다.
Old Korean novels were begun to be written from early periods of Choseon Dynasty. Many folk tales had been recorded for many centuries until those periods. These centuries were training times for old Korean novels. In these times, novel literature developed well in China. We Koreans used only Chinese character, and we read many Chinese novels. And Chinese novels gave great influence to old Korean novels. One of special feature of old Chinese novels is that they made new stories with materials of old stories. These were closely related to Confucianism which was basic background of traditional Chinese culture. And it was also that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and it gave great influence to old Korean novels. In this study, first, old folk tales are revealed to have been reproduced to make new stories. They changed and developed as follows. ⓐ An old simple story was enlarged and reproduced more interestingly. ⓑ A story changed and was reproduced in its structure, theme, and meaning. ⓒ Some tales were collected and intermingled to make a new story. ⓓ An event happened repetitively, each one made each new story. Second, the feature how old folk tales were used in old Korean novels is studied. ⓐ In ‘Choigounjeon(崔孤雲傳)’, a story that a golden pig stole a man’s wife is. This story was derived from an old Chinese folk tale in which a white monkey stole a man’s wife. But detailed story is very different. ⓑ In ‘Unyeongjeon(雲英傳)’, a very evil servant is. It was derived from an old Chinese story, but differently to Korean one, in that a good servant is. ⓒ In ‘Leechunpungjeon(李春風傳)’, the hero is seduced by a Kisaing- the Korea traditional woman entertainer, to lose all of his money and to be her servant. This novel used a stuff of old Korean folk tale, but did only a small piece of it. ⓓ In ‘Changwhahonglyunjeon(薔花紅蓮傳)’, a ghost who died resentful appears and express his sorrow. This novel used a stuff of an old Korean folk tale, but two are different in the aspects what are more focused in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