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마고문화의 창조론에 나타난 여성중심적 원리에 관하여 토론하고 그것을 고대 그리스-로마 문화에 나타난 뮤즈 여신들과 힌두 문화의 마트리카 여신 전통과 비교한다. 방법론적으로, 이 유형의 첫 번째 연구인 본인의 마고문화학은 한국, 중국, 일본에서 나오는 원천자료들이 인도하는 방법론을 따른다. 그 결과 기록된 문서, 설화, 예술, 문학, 지명을 포함하는 문헌들(다른 곳에서는 상관이 없거나 고립된 자료들로 남게 되는)을 들추어서 재발견하는 여성주의적, 횡민족주의적, 다학제간, 비교 연구 방법이 사용되었다. 궁극적 창조성인 우주음악과 구랑(마고와 두 딸, 즉 삼신과 여덟 손녀딸)으로도 알려진 마고 계보의 첫 3대로 특징지어지는 마고문화의 창조론은 뮤즈와 마트리카 여신들과 매우 강하게 공명한다. 후자의 두 전통에서, 언어적, 숫자적 증거뿐 아니라 동정출산, 모계적 계보, 문화적 양상들로 나타나는 여성중심적 일치성은 마고문화의 창조론과 밀접하게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마고문화의 관점에서는 그러한 다양한 면모의 일치가 놀랍지 않다. 정확하게도, 전통적인 마고문화인들은 자신들이 태고 어머니의 첫 번째 이야기를 전수하는 기억 전달자로 규명하고 있다.
This paper discusses the gynocentric principle in the Magoist cosmogony embodied in Cosmic Music and compares it with the traditions of Muses in ancient Greco-Roman culture and Matrikas in Hinducultures. Methodologically, being the first research of its own kind, my study of Magoism takes a path led by the peculiarities of primary sources from Korea, China, and Japan. As a result, a feminist, transnational, multi-disciplinary, and comparative approach is employed to dis-cover otherwise irrelevant or isolated materials that include written texts, folktales, art, literary and place-names. The Magoist cosmogony characterized by Cosmic Music as ultimate creativity and Mago lineage of the first three generations known as Gurang (Nine Goddesses), the Mago Triad (Mgo and Her two daughters) and eight granddaughters strikes a strong resonance in Muses and Matrikas. In the latter two traditions, not only linguistic and numerical evidence but also the gynocentric (read female-centered) principle represented by parthenogenesis, matri-lineage, and cultural manifestations appear akin to the Magoist cosmogony. From the perspective of Magoism, such multifaceted unity is not surprising. Precisely, traditional Magoists self-proclaim as the memory-bearer of the original narrative of the Primordial Mo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