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26.177.46
18.226.177.46
close menu
}
KCI 후보
『춘향전』의 문화원형 연구
A Study on the Cultural Archetype of "Chunhyang-jeon"
하성백 ( Sung Baig Ha )
국학연구론총 11권 253-279(27pages)
UCI I410-ECN-0102-2015-900-002062508

고전문학은 문화기호와 서사 구조로써 민족의 역사와 문화와 정서를 담고 있다. 민족 정서는 민족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요소로서 어느 민족이 오래 전부터 사회문화적으로 고유하게 간직하고 있는 문화를 의미한다. 문화와 정서의 상관관계에 서한민족의 정서와 문화는 집단주의적 성향이 강하다. 그리고 오랜 역사 동안 한 민족의 공동체성이 강한 이유도 이러한 문화와 정서가 집단주의와 관계중심적으로 표출되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문화와 민족정서가 연관이 있다. 문화와 민족정서의 상관관계가 있다면 문화원형도 민족정서와 상관관계의 논점으로 연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민족의 문화원형이 되려면 민족정서의 근원이 어디서부터 시작되었는지를 알아야 거슬러 갈 수 있다. 이러한 근원적 뿌리에서 시작된 민족적 정서라는 것은 넓은 의미에서 문화원형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이다. 한민족 정서의 근원을 꼽으라면 대부분은 고유정서로서 ‘한’과 ‘흥’을 대표적으로 꼽을 것이다. 『춘향전』은 “단군신화”의 신화적 원형과 민족의 ‘열녀설화’,‘암행어사설화’, ‘신원설화’ 등의 근원 설화들이 시대를 거치면서 대중들의 소망을 담아서 삽입되었다. 그 삽입과정에서 민족의 정서에 부합되는 많은 ‘한’의 이야기들을 담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래서 인구에 회자되고 시대를 초월해서 읽히고 각색되는 문학작품에는 민족의 문화원형적 요소들이 내포되어 있을 것이다. 그래서 오늘날 가치 있는 문화원형을 고전문학에서 찾고 있다. 한국과 중국과 일본은 같은 동양문화권에 속해 있으면서도‘한’을 대하는 민족의 정서가 다르다. 역사와 지리적 풍토에서 집단공동체가 형성되어 내려오는 과정에서 쌓여서 생긴 정서가 다르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한풀이 방식도 다르게 형성되어온 것이고, 각국의 문화 정서의 차이에서 결국 문화원형의 차이도 생기게 된 것으로 여겨진다. 그래서 한국의 고전문학 『춘향전』은 ‘한’을 푸는 이야기로, 일본의 “주우신구라”는 원수를 갚는 이야기로, 중국의 “와신상담”은 원한의 복수 이야기로 각국의 ‘원’의 문화원형을 상징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고전문학 『춘향전』은 순수한 연애와 평등사상을 고취한 반봉건적 시대각성을 고취하는 민족문학으로서 조선조 문학의 최대걸작으로 꼽힌다. 폭군적인 변학도에 맞서 수절의식을 표방하면서 신분상승을 성취해가는 춘향의 모습은 ‘한’과 ‘신명’의 감정이입을 대중에게 누리도록 해 주었던 것이다. 『춘향전』은 이처럼 주제에서 ‘한’과 ‘흥’의 민족정서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고전문학 『춘향전』은 사랑이라는 영원한 주제와 시대극복정신의 주제를 가지고 있어서 민족 정서와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춘향전』에서 보이는 서사와 등장인물들의 정서도 고난과 인내의 전개를 통해서 민족정서의 뿌리와 맥을 같이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춘향전』이 민족정서와 유관한 이유를 밝히기 위하여 단군신화의 신화적 원형의 이야기 성립 배경과 서사 구조를 비교해서 살펴보면 문화와 민족정서의 문화원형적 요소들이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춘향전』에서 춘향이의 ‘되다’의 정서는“단군신화”에도 담겨져있던 신화원형을 이어받아 온 것 같다.“단군신화”가 한민족의 영원한 신화원형이라면 『춘향전』은 문화원형이라는 다른 이름으로 민족의 문화예술 속에 영원히 이어져 가고 있다. 문화와 민족정서의 관계가 있듯이 문화원형도 민족정서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춘향전』의 서사, 주제, 등장인물을 분석하여 연관지을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보면 『춘향전』의 정서가 민족정서와 부합되며 대변하고 있기에 문화원형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고 여겨진다. 본 고는 『춘향전』의 문화예술의 미학적 이야기에서 문화원형적 소재를 밝히는 연구를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구조주의 서사학 중 사이무어 체트먼(Symour Chatman)의 서사구조방법론을 사용한다. 서사분석을 통해서 『춘향전』은 ①영원성, ②시대성, ③민족성, ④다면성의 네가지 주제에서 한민족의 문화원형을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춘향전』의 작품 속에는 한민족의 정서를 대표하는 문화원형을 내포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 문화원형으로서 보편적이며 고유한 민족정서는 부단히 시대를 초월해서 민족의 마음을 고무하기 위해 부활된다. 본 고는 『춘향전』의 문화원형을 통하여 고전문학이 가지고 있는 문화예술의 미학적 가치를 연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문학에서의 문화원형 가치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많은 고전문학에 내재된 문화원형이 개발되어 대중의 요구에 맞게 시대적 현실을 반영하여 재창작되기를 기대한다. 그래서 인문학의 중요성이 더욱 인식되고, 인문학에 내재한 문화 원형의 가치에 대한연구가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Classic literature holds the nation`s history, culture, and the sentiments as a cultural symbol and narrative structure. Racial sentiments as the element of the regulatory elements of ethnic identity, it means the unique socio-cultural culture that any nation kept for a long time. On the correlation between sentiments and culture of Korean people have a strong group inclination. Also a strong reason why one nation with the long history of community has such a stong group inclination is that its culture and sentiments were expressed in relationship-centered way. In such a way culture and racial sentiments are associated. If there is correlation between cultural and racial sentiments, cultural prototype also shows the possibility of researching in correlation issues. To be a racial group`s cultural prototype, we need to know where the cultural sentiment`s source started. This kind racial sentiment that started in the roots of this fundamental concept is included in a broad sense of cultural archetype. If we are to choose the source of racial sentiments of Koreans, it would most likely be “sad” and “happy”. "Chunhyang-jeon " has been inserted the wishes of the masses through the ages of the “Dangun myth`s” mythical archetype and ethnic ``narrative of a woman of chaste``, ``narrative of a royal secret inspector’ and ‘narrative identity’. It is believed that many stories contain ``sad’. The adaptation of literary works that are read and talked about through the people timelessly, there must be the elements of the ethnic group`s cultural archetype. So these days we are looking for valuable cultural archetype in the classical literatures. Though Korea, China and Japan belong to the same oriental culture, it is different how one nation thinks of “sad”. Different emotions of these three countries are due to its history and geographic climate in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community groups. So the spite way has been formed differently,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cultural prototype due to the difference in their cultural sentiments of these countries. So Korea`s "Chunhyang-jeon " is the story of releasing “sad”, Japan`s “Chusingura” is the story of vengeance and China`s “anger” is the story of revenge. They represent each country`s cultural archetype. The classical literature "Chunhyang-jeon " is regarded as a masterpiece of the Joseon Dynasty literature which awakens pure love and idea of equality which was anti-feudal in that era. Chunhyang`s avocation of fidelity while achieving upward mobility of status against the tyrants Byun Hak-Do, gave the public enjoyment of empathizing their own ‘sad’ and ‘excite’. "Chunhyang story`s” theme has correlation between racial sentiments` “sad” and “happy”. The the classic literature "Chunhyang-jeon " have correlated with the subject of the eternal theme of love and the spirit of the age to overcome the racial sentiments. The characters` sentiments and narratives have the racial sentiment`s roots and legacy through the development of suffering and patience. When you compare the background of Dangun myth`s mythical archetype of establishedment and narrative sturcture we can see that culture and the elements of racial sentiment`s cultural archetype are correlated. "Chunhyang story`s" Chunhyang`s “became” is rooted from Dangun myth. If “Dangun Myth” is Korean`s eternal mytical archetype, then “Chunhyang story” is continued its name as cultural art. As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culture and racial sentiments, there are correlation between cultural archetype and racial sentiments and we can see it by analyzing “Chunhyang story”`s narratives, themes, and characters. Based on this, “Chunhyang story”`s sentiments and racial sentiment are matched up and credited that it can be valued as cultural archetype. In this research, I want to study "Chunhyang-jeon " as the subject matter of cultural archetype from it aesthetic story. I use Symour Chatman`s narrative stracturalism as method of this study. Through narrative analysis of four different themes, we can see that "Chunhyang-jeon " contains (1) eternality, (2) time period, (3) ethnicity (4) various aspects of cultural archetype. As cultural archetype, it will inspire the hearts of the nation through its timeless and universal racial sentiments. Through this research of "Chunhyang-jeon "`s cultural archetype, we studied the aesthetic value of art in the classical literature. Based on this we expect to see the increse in the importance of racial archetype in literature and to reflect the comtemporary realities in classical literature through the development and recreation of cultural archetype in various classical literatur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