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다문화가정 방문지도사의 직무환경과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ork Environment, Self-Efficacy on Visiting Supervisors for Multicultural Families`s Psychological Burnout
임수진 ( Su Jin Lim ) , 이현순 ( Hyun Suk Lee )
UCI I410-ECN-0102-2015-100-002070220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방문지도사의 심리적 소진에 관한 것으로 이들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직무환경과 자기효능감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전국의 다문화가정 방문지도사 197명(한국어교육 지도사 113명, 가족생활 지도사 84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방문교육 지도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주는 인구사회학적 변인은 활동유형, 학력, 재직기간이다. 연령과 혼인유무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예언변인인 직무환경과 자기효능감은 모두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주었다. 직무환경의 위험요소가 증가할수록 다문화가정 방문지도사들은 소진되었다. 그리고 자기효능감이 낮을수록 다문화가정 방문지도사의 심리적 소진은 증가되었다. 예측변인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직무환경의 역할갈등과 업무과다가 높을수록 심리적으로 소진되었으며,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조절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조절효능감이 높을수록 심리적소진은 감소되었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가정 방문지도사의 직무환경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확인한 결과, 유의미하지 않았다. 즉, 자기효능감의 조절 효과는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work environment, self-efficacy on visiting supervisor for multicultural families’s psychological burnout. The survey had been carried out for 197 visiting supervisor. Th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n burnout were work environment and self-efficacy, The more they had work environment, the more they were burnout. The more they had self-efficacy, the less they were burnout. Specially role conflict, excessive task of work environment and self regulated efficacy of self-efficacy significantly influenced their psychological burnout. Unexpectedly visiting supervisor’s self-efficacy didn’t moderate the effects of work environment on psychological. We discuss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researchers as well as for practitioner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