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모바일 메신저 이용과 이동통신서비스 및 콘텐츠 이용간의 상관관계 분석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the Use of the Mobile Messenger and the Use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s and Mobile Content
신우철 ( Woo Cheol Shin ) , 김용규 ( Yong Kyu Kim )
UCI I410-ECN-0102-2015-300-002068355

본 연구는 최근 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서 구축한 2010년부터 2013년까지 4년간의 한국미디어패널 미디어 다이어리(media diary)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바일 메신저의 이용자 특성을 분석하였고, 모바일 메신저 이용과 이동통신서비스 및 콘텐츠 이용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먼저 2013년도 횡단면 분석을 통해 모바일 메신저의 이용자특성을 분석하였는데 분석결과 남성보다는 여성이,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그리고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모바일 메신저를 이용하게 될 확률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모바일 메신저와 기존 이동통신서비스 이용간 상관관계를 2010년부터 2013년까지의 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모바일 메신저와 음성통화 및 문자서비스 사용은 음의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모바일 메신저의 이용과 모바일 콘텐츠 이용 간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동 기간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패널 로짓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모바일 메신저의 새로운 이용, 연령의 상승, 다이어리가 기록된 날 중 주말이 이틀일 경우 모바일 게임의 신규 이용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모바일 메신저 이용은 사진/그림 및 정보검색 콘텐츠의 이용확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mobile messenger users, correlation between the use of the mobile messenger and the use of mobile calls and short message service (SMS), and correlation between the use of the mobile messenger and the use of various kinds of mobile content. Media diary data from the Korean media panel from 2010 to 2013 were employed in this research. Cross-sectional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mobile messenger users based on 2013 data shows that female, younger, more educated and lower-income users are more likely to use the mobile messenger. These results appear to be consistent with observations from other recent surveys. Next, regression analysis of the use of the mobile messenger, mobile calls and SMS based on 2010 to 2013 panel data shows that the use of the mobile messenger is related negatively to the use of mobile calls and SMS. The use of the mobile messenger reduces the use of SMS more than it reduces mobile calls. Finally, a panel logit analysis was carried out to find correlation between the use of the mobile messenger and the use of mobile content based on 2010 to 2013 panel data. Results show that the probability of users’ taking up mobile games increases as the users initially adopt the mobile messenger, as they age, and if their usage days are weekends. In addition, the use of the mobile messenger is estimated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the use of mobile content such as photo/picture and information search. This work provides insight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messenger users, the substitution effect between the use of the mobile messenger and that of mobile calls and SMS, and the effect of the use of the mobile messenger on the consumption of mobile content such as mobile games.

Ⅰ. 서론
Ⅱ. 국내 모바일 메신저의 현황
Ⅲ. 연구모형 및 데이터
Ⅳ. 추정결과
Ⅴ. 결어
참고문헌
[부록] 미디어 다이어리 설문지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