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9
18.97.14.89
close menu
Accredited
소셜미디어와 사회적 지지 경험: 페이스 북의 게시글에 대한 타 이용자의 반응유형을 중심으로
Social Media and Social Support Experiences
이상돈 ( Sang Don Lee ) , 이수영 ( Soo Young Lee ) , 김군주 ( Goon Ju Kim )
UCI I410-ECN-0102-2015-300-002068340

본 연구는 페이스 북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작성한 글에 대한 타 이용자들의 반응유형인 댓글, ``좋아요``, 공유하기를 통해서 사회적 지지를 어떻게 차별적으로 인지하고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페이스 북을 많이 이용하는 사람들이 적게 이용하는 사람들보다 사회적지지를 더 많이 느끼고 있다. 둘째 게시글의 댓글을 통해서는 정보적 지지와 정서적 지지를, ``좋아요``와 공유를 통해서는 정보적 지지를 가장 많이 경험하고 있다. 셋째 페이스 북 이용자 변인(이용동기, 이용량, 네트워크 크기)이 게시글의 반응유형에 대한 사회적지지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댓글, ``좋아요``, 공유를 통한 정서적 지지의 경우 커뮤니케이션 동기(댓글, ``좋아요``)와 네트워크 동기(공유하기)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평가적 지지에서 댓글의 경우는 커뮤니케이션 동기가, ``좋아요``와 공유의 경우는 정보획득 동기가 가장 영향력이 높다. 또한 댓글,``좋아요``, 공유를 통한 정보적 지지의 경우 정보획득 동기가 가장 영향력이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페이스 북의 이용량의 경우 전체 이용량은 게시글의 ``좋아요``를 통한 정보적 지지에 댓글 이용량은 게시글의 공유를 통한 정보적 지지에 정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한편 네트워크 크기는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different ways in which Facebook users experience social support through other users`` posts via Facebook services such as comments, and the ``like`` and share func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eavy users of Facebook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social support than light users. Second, Facebook users experience informational and emotional support through comments, and enjoy informational support through the ``like`` and share functions. Third,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cebook user characteristics (such as their motivation, frequency of Facebook use and network size) and the social support they experience, communication and network motives a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triggering emotional support whereas informational motiv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riggering informational support. In addition, frequency of Facebook use is closely related to the triggering of informational support through the ``like`` function.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매개된 환경에서의 사회적 지지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