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사회복지직 수행 경험에 대한 연구로, 그들의 실천 경험을 분석하고 직업정체성 강화와 사회복지사로서의 전문성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제언을 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자들은 근거이론 연구방법으로 접근했다. 연구에는 10명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이 참여했으며, 자료는 심층 면담을 통해 구성했다. 자료 분석 결과, 170개의 개념, 40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3개의 범주를 구성했으며, 연구 참여자들에 대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으로서의 직무 수행 경험과 정체성 발전 과정을 살펴보았다. 인과적 조건은 ‘안정과 발전으로서의 사회복지직’, ‘이상과 현실의 괴리’로 나타났고 현상은 ‘관성에 의존한 일처리’, ‘현상유지 차원에서 버텨내기’로 나타났다. 맥락적 조건은 ‘업무소진’, ‘부정적 자기상’으로 나타났다. 중재적 조건은 ‘방탄직으로서의 사회복지직’, ‘국가복지만능주의’, ‘형식주의’로 나타났다. 결과는 ‘인간 재발견’으로 나타났다. 선택코딩에서는 핵심범주 고르기와 유형분석을 했다. 핵심범주는 실천의 ‘무정부 상태에서 벗어나 구조적 한계 속에서 새로운 길 모색’으로 나타났다. 유형은 ‘실천 환경 재조직형’, ‘자력 탈출형’, ‘현실 만족형’으로 분류했다. 그리고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사회복지 가치차원에서의 업무를 지지하고 수평적 민 관 협력을 제고하기 위한 제언으로 재충전의 기회를 제공하고 승진체계를 개선하며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보호시스템을 마련해야 함을 제언했다.
This study is about the practical experiences of government social welfare workers, and has studied practical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based on their oral statements. We approached grounded theory method. Ten government social welfare workers participated thi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 Results as follows: In opencoding 170 concepts, 40 subcategories and 13 categories have been composed. And the study reviewed the practical experiences and identity development as government social workers of the participants. In axial coding, casual conditions are social welfare in terms of stabilization and development, the gap between the ideal and reality. Phenomenon showed as dependence on inertia at work, enduring to maintain. contextual conditions showed as work exhaustion, negative self image. Intervening conditions are social worker as bullet-proof job, government welfare omnipotence and formalism. Resulted as human rediscovering. In selective coding selection of core category and analysis of types have been conducted. Core category showed as ``break away from anarchy and find new ways in structural limitations``. Types are re-organizing experimental environment type, self escape type and reality satisfaction type. Finally, In purpose to support social welfare values and improve the horizontal equity of civil and government relations, the paper is suggesting to provide chances to recharge, revise promotion systems and making of protection system joined with the local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