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7
18.97.14.87
close menu
Accredited
포괄적합도 이론 논쟁과 의미론적 문제
A Recent Debate on the Inclusive Fitness Theory and Its Semantic Problem
전진권 ( Jin Kwon Jun ) , 장대익 ( Day K Jang )
과학철학 vol. 18 iss. 1 103-128(26pages)
UCI I410-ECN-0102-2015-100-002076646

본 논문은 2010년도에 노왁, 타니타, 윌슨에 의해 촉발된 포괄적합도 이론(inclusive fitness theory)에 대한 논쟁을 다룬다. 이 논쟁의 특별한 점은 당사자들이 하나의 수학적 모델을 놓고 서로 다른 평가를 내린다는데 있다. 우리는 논란의 원인이 포괄적합도 이론이라는 용어에 대한 ‘의미론적 문제(semantic problem)’에 있다고 생각한다. 이 혼란은 포괄적합도 이론이 가지는 복잡성을 인지하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한다. 문제의 해소를 위해 우리는 포괄 적합도 이론에 대한 이해방식을 4가지 해석으로 구별하고 비판의 타당성을 각각 평가한다. 분석을 통해 결과적으로 최근 제기된 비판은 완전하지 않다는 결론이 도출될 것이다.

This paper deals with a debate on the inclusive fitness theory triggered by Nowak, Tanita, Wilson``s paper in 2010. The strange feature of this debate is a collision of different evaluations on the just same mathematical model. We suggest that a semantic problem on the term, ‘inclusive fitness’ is the major source of confusion. It comes from the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complexity of the inclusive fitness theory. To solve it, we classify the way of understandings of the inclusive fitness theory into four distinct interpretations and assess adequacies of each interpretations. Finally, we conclude that the recent critic is not complete.

1. 서론
2. 해밀턴의 이론 도출 과정: 프라이스 방정식에서 친족 선택론까지
3. 가능한 해석들
4. 결론: 비판자들에게 남은 과제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