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116.163.144
18.116.163.144
close menu
}
미학과 연계한 전시디스플레이 디자인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Process of Exhibition Display Affiliated Aesthetics
김다영(주저자) ( Da Young Kim ) , 김소희(주저자) ( So Hee Kim ) , 김해든(주저자) ( Hae Duen Kim ) , 홍성은(주저자) ( Sung Eun Hong ) ,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 , 신지윤(공동저자) ( Ji Yoon Shin )
UCI I410-ECN-0102-2015-600-002072087

본 논문은 미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이를 Art &Design에 접목하여 디자인 프로세스를 도출하고, 실제 공간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이다. 공간에 적용하기 위한 프로세스는 세 단계로 구성된다. 먼저 미학적 토대로‘미학 오딧세이’에서 다루고 있는 테마 중‘1. 3차원의 허상, 2. 응축 미학, 3. 파괴된 캘리그램’의 개념을 중심으로 이론 연구를 진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학 개념을 표현하는 디자인을 할 수 있도록 아이디어를 발전시킨다. 두 번째 단계는 그 아이디어를 토대로 2D 이미지보드 작업을 진행한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2D 이미지보드를 토대로 3D 형태의 최종 결과물 작업이 이루어졌다. 또한 본 논문은 전시디스플레이 수업 진행과정 동안 15주간 진행한것으로 4명의 팀원이 작업하였다. 본 고에서는 공간전시 디스플레이 결과물 도출을 위한 Ideation 및 이미지 보드, 전시디스플레이 작업 과정을 통해 미학과 Art & Design, 공간의 융합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향후 타 영역과의 활발한 융합 연구를 추진할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This thesis is a study for deriving the designing process and application to the actual space, by combining Art & Design on the basis of the aesthetic research. The process for application to space is consisted of three steps. First, we conducted the study by focusing on the concepts of 1. Illusion of image, 2. Surrealism, and 3. Destroyed calligram, managing on aesthetics odyssey based on the aesthetic. We developed the ideas to be able to design the expressions of the aesthetics concepts. Second, we used 2D image board on the basis of the ideas. Thirdly, 3D works were made, which was based on 2D image board. This project aimed on finding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Art & Design & space, which can be achieved through ideation for space exhibition display and image board and exhibition display work. We also aimed to promote active fusion research with other areas in the future. This thesis is an output collected over 15 weeks of exhibition · display design class, working on the project in the groups of four.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