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성별과 학년별에 따른 체육수업에 대한 기피요인 차이를 분석하여 초등체육 학교현장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소재 11개 초등학교 3~6학년 학생 1,022명으로, 체육수업 기피요인을 묻는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성별과 학년별 차이의 유의성 검사를 위해 X2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른 체육수업 기피요인에서는 싫어하는 친구유형, 체육수업을 싫어하게 만드는 이유, 모둠편성, 과제 안내방법, 학습 활동 형태, 선호하는 체육활동, 선호하는 체육수업 장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체육수업 기피요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체육수업에 대한부정적인 경험, 싫어하는 친구유형, 체육수업을 싫게 만드는 이유, 모둠편성에 따른 기피요인, 과제 안내 방법에 따른 기피요인, 선호하는 체육활동에 따른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나타난 초등학교 체육수업 기피요인을 선행연구와 비교.검토하여 과제 성공 경험 제공, 개인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모둠구성, 적절한 과제 안내를 위한 수업전략, 학년별 선호 영역을 고려한 학교단위 체육교육과정 재구성 등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udent avoidance factors in gender an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 for providing basic data on improvement of effective P.E class.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1,022 elementary school students each eleven local ministries of education in Seoul. Cross tabulation was utilized to look for the relationship of gender and grades traits to the aspects of avoidance factors in P.E class and x2-test was used to check the level of significance.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the avoidance factors by gender in P.E class, there were significance difference between the boys and girls in the type of friends, methods making groups, methods presenting subject of studying, the type of learning activities, preference activities, the place of activities making them avoid P.E class. Second, the avoidance factors by grades in P.E class, there were significance difference each grades in the personal experience, the type of friends, the reason making dislike P.E class, methods making groups, methods presenting subject of studying, preference activities making them avoid P.E class. And we discuss the results of study with reference to preceding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P.E class in elementary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