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2
18.97.9.172
close menu
Candidate
초등학교 사회과 교재 개발,활용 실태 및 개선 과제
Analysis of Actual Conditions and Improvement Tasks in Developing and Using of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Materials
허종렬 ( Jong Ryul Hur ) , 강현미 ( Hyun Mi Kang ) , 이선영 ( Sun Young Lee ) , 조의호 ( Eui Ho Jo )
UCI I410-ECN-0102-2015-300-002080491

본 논문은 사회과 교재 개발 및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를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과 교재를 교과서, 부교재, 학습자료로 분류하고, 총 20여개 학교에 걸쳐 228명의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교재에 대한 개발 및 활용 실태 및 현황을 설문조사하여 그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교사 인식 조사 및 분석 결과 사회과교과서에 대해서는 흥미와 학습 분량 부분을 제외하고는 교육과정 반영, 학습 목표 달성, 학생 실생활에의 도움, 외적 체제, 개념이나 용어 제시 측면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지역 교과서를 포함한 사회과 부교재에 대해서도 내용에 대한만족도 및 활용도가 비교적 높았다. 단, 자료 제시 방식으로 서책보다는 CD나 사이트를 통한 배포 방식을 선호하였다. 학습 자료에 관해서는 인터넷을 통해 교사 커뮤니티에 공유되어 있는 개발 자료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과 교재에 대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를 개발.활용할 때 열린 교과서관을 가지고 흥미와 분량을 고려하여 다양한 교과서 활용 방안을 참고하고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과 부교재개발 및 활용을 위한 꾸준하고 활발한 기관별 시도와 사회과 부교재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및 이에 대한 접근성 향상을 위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또한 교사들의 학습자료 활용실태를 감안할때, 교사들의 자발적인 교재개발과 공유에 대한 직.간접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This research is to study development and use of social studies materials to find out their improvement plan. The social studies materials is sorted into textbooks, auxiliary materials and the other materials. Based on these concepts, 228 teachers over 20s elementary schools were surveyed about development and use of social studies materials. According to survey analysis, except students’ interest and amount of study in social studies textbooks, almost factors such as representing curriculum, achieving goals, helping students’ real life, external framework, presenting concepts or terms were satisfied highly by teachers. It was also found that the degree of contents satisfaction and usage of auxiliary materials including regional textbooks were relatively high among teachers. But more teachers preferred CDs or web-sites over books when it comes to getting regional teaching materials. And there were tendency that teachers had been using materials through internet teachers community at the highest rate. The improvement plan of social studies materials could be reasoned from the survey results. First, flexible viewpoint on textbooks could ensure a variety of ways in using textbooks considering students’ interest and amount of study. Second, it needs more support to boost up developing and using social studies auxiliary materials by various institutes as well as establishing database systems and its own easy access. Finally, regarding using other teaching materials by teachers, it is necessary to build up direct-indirect support for teachers voluntary development and sharing of materials.

Ⅰ. 서론
Ⅱ. 사회과 교재 개발·활용의 의미와 선행연구 동향
Ⅲ. 사회과 교재 개발·활용 실태 분석
Ⅳ. 사회과 교재 개발·활용 실태 분석 결과
Ⅴ. 사회과 교재 개발·활용 개선 과제
Ⅵ.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