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5
18.97.9.175
close menu
Accredited
경제 단원의 학습이 경제 교육에 대한 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
Changes in Attitude toward Economic Education and Economics Unit in 『Social Studies』
전창완 ( Chang Wan Jeon )
UCI I410-ECN-0102-2015-300-002079027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 과목 경제 단원(Ⅲ단원)의 학습 이후에 나타나는 경제 교육에 대한 태도 변화 양상을 밝히고, 수리 능력이 경제 교육에 대한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방법은 잠재 성장 모형이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 단원을 통한 경제 공부는 제한적인 의미에서 경제 교육에 대한 태도 개선 효과가 있다. 경제 단원 선호도가 꾸준하게 개선되었고, 경제 공부의 유용성을 인식하는 학생들도 증가하였다. 하지만 경제 교육의 관심도를 개선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둘째, 경제 단원을 활용한 경제 교육은 그 진입 장벽이 높지 않았다. 수학 성적이 경제 교육에 대한 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There are two research aims in this study. The first thing is an investigation of students` changing attitudes toward economic education as a result of an economics course, unitⅢ in Social Studies. The second thing is an estimation of math skill effect on the changing attitudes. Students` attitudes toward economic education before and after taking unitⅢ in 『Social Studies』was examined using standardized multiple choice questionary. A LGM(latent growth model) was adopted to achieve the aims. I could get two results from the analysis. First, I could find that taking the unit gradually improved the students` attitudes in the limited sense. Even though there was no change in their interest in economic education, their preference of the economic education grew and the number of the students who were aware of utility of learning economics increased time by time. Second, the students` attitudes were improved without reference to their math skill. The impact of math score on the their attitude chang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Ⅰ. 서 론
Ⅱ. 선행 연구 검토
Ⅲ.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V. 결 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