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만성 편부전마비 장애인의 심폐체력과 보행능력과의 관련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명의 만성 편부전마비 장애인(남 28명, 여 12명, 나이 58±7yr, 신장 166.82±7.01cm, 체중 69.04±7.88kg, BMI 24.82±2.05kg/m2)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보행능력 검사는 6분 걷기 검사(6MWT), 10m 보행 검사(10MWT), 의자에서 일어나 3m 앞 반환점 돌아와 앉기(TUG) 검사를 실시하였다. 심폐체력(VO2peak)은 운동부하 검사용 트레드밀과 호흡가스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은 단순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심폐체력과 6MWT(r=.695, p=.00), 10MWT(r=-.688, p=.001), TUG(r=-.511, p=.001)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관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행능력과 관련된 여러요인(나이, 성별, 체중, 체질량지수, 뇌졸중 유병기간, 약복용유·무, 안정 시 혈압, 안정 시 심박수, 근긴장도, 하지근력, 균형능력)을 보정한 다중회귀 분석에서도 심폐체력은 보행능력(6MWT t=5.094, p=.001; 10MWT t=-.2.152, p=.041)과 독립적으로 유의하게 관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만성 편부전마비 장애인의 심폐체력 향상은 복잡한 기능이 포함되는 보행능력을 제외한 긴거리와 짧은 거리의 단순보행능력의 개선에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cardiorespiratory fitness and gait capacity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Forty patients with chronic stroke(28 male; 12 female; mean age 58±7; 166.82±7.01cm; 69.04±7.88kg; 24.82±2.05kg/m2)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six-minute walk test(6MWT), the 10 meters gait test(10MWT), and the timed up and go test(TUG) as indices of gait performance. Cardiorespiratory fitness was assessed by peak oxygen uptake(VO2peak) during treadmill test. There wa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cardiorespiratory fitness and gait performance(6MWT r=.695, p=.001; 10MWT r=-.688, p=.001; TUG r=-.511, p=.001). In separate multivariable linear regression models that adjusted for age, gender, weight, body mass index, time since stroke, blood pressure, heart rate, medication, MAS(modified Ashworth scale), CS30(30-s chair stand test), and FRT(functional reach test), cardiorespiratory fitness was an independent associated with gait capacity(6MWT t=5.094, p=.001; 10m gait test t=-2.152, p=.041).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high cardiorespiratory fitness was associated with high gait capacity independent of rel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