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118.196.177
18.118.196.177
close menu
}
KCI 등재
교육인류학과 교육의 실천
Anthropology of Education and an Action of Education
서근원 ( Ghun Won Suh )
UCI I410-ECN-0102-2015-300-002077407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학교 교육의 과정에서 학생과 교사가 겪는 소외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교육인류학이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서 연구자는 교육인류학의 연구 대상이 무엇인지, 그것을 어떤 방법으로 연구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교육인류학은 인간의 다양한 삶의 장면에 다양한 모습으로 존재하는 교육을 문화와 관련지어 탐구하고자 한다. 이 때 교육은 기존의 자신을 부정하며 새로운 자신으로 태어나는 과정이라고 본다. 교육인류학자가 이러한 교육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연구 방법이 필요하다. 교육인류학자는 그 방법으로 타인의 교육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자신 역시 기존의 자신을 부정하며 새로운 자신으로 태어난다. 즉 교육인류학의 연구 방법 속에서 연구 대상과 연구 과정이 일치한다. 나는 지금까지 학교 현장의 교사들에게 교육인류학의 연구 방법을 안내했다. 현장 교사들은 그 방법으로 학생의 교육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그 학생이 어떻게 새로운 것을 알아가는지 알게 될 뿐만 아니라, 그동안 자신이 학생들을 일방적으로 판단해왔음을 깨닫게 된다. 그리고 자기중심적으로 이루어져왔던 교육적 실천을 개선하고자 노력하게 된다. 그리고 더 나아가 일상 속에서도 주변의 타인을 타인의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애쓰게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교사들은 학생뿐만 아니라 주변의 타인과 새로운 관계를 형성한다. 이런 점에서 교육인류학은 우리나라 학교 교육뿐만 아니라 사회를 변화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way to solve the problem of the alienation that students and teachers feel in Korean schools.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target and method of anthropology of education to find the way. Anthropology of education presupposes that education is the process of rebirth. Anthropology of education posits that education exists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culture and geography. Anthropology of education researchers have developed certain research methods to study education. They in turn are reborn by studying how others undergo their education. In those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 process corresponds to the research subject. I have introduced the research method of anthropology of education to school teachers. Studying the education of their students with this method, the teachers understood how their students learned new knowledge, and found that they judged their students arbitrarily. After the research process, the teachers tried to correct their egocentric practice of education. Furthermore, they tried to understand their neighbors from others` viewpoints. With these efforts, they established new relationships with their students and neighbors. Considering these results, anthropology of education can be a way to change Korean school education and Korean society.

1. 학교 교육과 소외
2. 교육인류학의 연구 대상
3. 교육인류학의 연구 방법
4. 교육인류학의 교육 실천
5. 교육인류학과 교육적 삶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