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9.171
18.97.9.171
close menu
박정양과 이범진의 주미공사 활동
The Activities of Park Jeong-yang and Lee Beom-jin, the Chosun Minister to the US
김철웅 ( Cheong Woong Kim )
사학지 vol. 49 243-269(27pages)
UCI I410-ECN-0102-2015-900-002083081

朴定陽(1841-1904)은 1887년에 駐美全權公使로 임명되어 미국에 파견되어 10개월 가량 있다가 소환되었다. 李範晉(1852-1911)은 1896년 6월부터 주미공사를 지냈다. 고종은 박정양을 사폐할 때에 주미공사가 어떤 역할을 하여야 하는 지에 대해 말하면서 査探物情을 강조하였다. 이에 박정양은 주미공사로 근무하면서 보고 들은 바를 세세히 기록하였는데, 이는 『죽천고』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나중에 주미공사로 파견된 이범진도 마찬가지였는데, 그는 『미사일록』을 남겼다. 약 10개월의 워싱턴 재임 기간 동안 박정양은 주미전권공사로서 각종외교 행사와 연회에 참석하는 한편, 행정부와 의회, 대법원 등의 주요 기관을 시찰하였다. 그리고 육군사관학교, 대학, 여학교 등의 교육 시설, 그리고 교회, 신문사, 박물관, 식물원 등의 시회 시설과 알링턴국립묘지, 남북전쟁기념관, 워싱턴 기념비 등의 유적지를 답사하였다. 아관파천을 성공으로 이끌었으나 이후 급변하는 정세에 따라 권력을 상실한 이범진은 주미공사로 나가게 되었다. 이범진은 자신이 본 미국의 정치제도와 발전상, 추수감사절과 크리스마스의 의미, 미국의 음식문화에 대해 소상히 서술하였다. 그리고 이범진은 미국 역대 대통령 선거사상 가장치열했던 1896년의 선거를 직접 경험했다. 이범진은 뉴욕·워싱턴을 직접본 후에 미국의 발전에 대해 크게 고무되었다. 이범진은 미국을 ‘至治의 세상’, ‘共理의 시기’라고 높이 평가했다. 그러면서 조선이 비록 작은 나라이지만 한마음으로 開化한다면 독립을 유지하고 미국과 같이 발전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This article will focus on the conceptions of America by the staff of the Korean Legation to USA, who had been dispatched to America after the 1882 Korean-American Treaty, and the characteristics in the conceptions. The officials had seen and examined the American currents in their long stay, and done their services in the key posts in Korean government after their mission to America. Park Jeong-yang who was the first ambassador to the US could experience the West much more comprehensively. In 1888, he opened the Korean Legation in Washington D.C. It was the first legation to be founded in the West. He stayed there for 10 months, and attended various diplomatic events and parties. He observed political events like National Holiday and the Presidential Election, and took school tours. In the meantime he could survey the US political system which stood on the separation of three powers. While he acknowledged Christianity as a moral foundation of America, he thought that American civilization was based on democracy,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monarchic system of Chosen. He tried to put the Western civilization into the bowl of Confucianism. Lee Beom-jin’s activities as the minister was restricted. It is affirmed that the poor finance of the Korean Ambassy in Washington was the huge pressure for Lee’s diplomatic activities.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diplomacy through banquet, the mutual diplomatic custom pressured him a lot. Due to the poor finance, he felt pressured from attending the banquets hosted by the ministers of other countries, so he became passive in the amity among diplomats. Nontheless, he recorded the situations of the US that he experienced in Misailrok.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