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90
18.97.14.90
close menu
Accredited
전병훈 연구의 문제와 쟁점(1) -최근 논쟁에서의 몇가지 문제를 중심으로-
Problems and Issues on the Jeon Byeonghun Research(1) -Around the Recent Controversies and Research Ethics-
임채우 ( Chae Woo Lim )
선도문화 vol. 18 185-211(27pages)
DOI 10.35573/JKSC.18.6
UCI I410-ECN-0102-2015-900-002082837

본 논문은 조선 말의 학자이자 중국에서 도사로 명성을 떨쳤던 全秉薰(1857-1927)의 철학사상을 연구하는데 있어서의 문제를 고찰해보고, 특히 최근에 등장한 논쟁점을 중심으로 앞으로 우리 학계가 가져야 할 바람직한 연구윤리 문제를 논의했다. 근현대 격동의 시대를 살다간 그의 파란만장한 생애 속에서 그가 남긴 저술들은 원형을 잃고 흩어지거나 없어진 경우가 많았다. 이렇게 맥락을 잃어버린 파편화된 문장들을 수집하고 정리하고 분석하는 것은 쉽지 않은 작업이다. 전병훈이 썼다는 『道眞粹言』이란 저술도 이름만 남아있을뿐 지금까지 실체가 확인되지 않았다. 필자는 『仙佛家眞修語錄』 속에 들어있는 전병훈의 글을 발굴해서, 이 글과의 관계를 고증해낸 바 있다. 또한 그간 알려지지 않았던 그의 생애와 漢詩에 대해서도 발굴 고증한 바 있었다. 본고에서는 이에 대해 최근에 제기된 비판에 대해 재검토하면서 전병훈 연구의 문제점과 함께 선행연구에 대한 정확한 인용의 필요성을 제기해보았다. 특히 전병훈의 경우에는 원전자료 자체가 제대로 갖춰져 있지 못하기 때문에 자칫 오독하거나 오해할 수 있는 소지가 많으며, 이런 부분들에 대해서 학자들간의 해석이나 견해상 차이가 생겨나게 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현상이다. 기존의 연구성과에 대해 평가를 할 때는 이런 부분에 대해 충분히 유의하면서, 일부에 치우치지 않는 전체적인 시각에서 분명하게 인용을 하고 정확하게 평가를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연구자는 자신의 독창적 주장을 수립하는데 게을러서도 안되지만, 또한 자신을 뒷받쳐주고 있는 선행연구들에 대한 평가와인용에 인색해서도 안될 것이다.

This research reviews the issues in researching the philosophy by Jeon Byeonghun, a reputable scholar and expert of late-Joseon, active in China and discusses the recommended direction the research field must take moving forward for its research ethics. Many of the research literature he left in his dynamic life in the turbulent modern times have lost its original form or disappeared. The act of collecting, organizing, and analyzing the segmented literature without its original context is not easy. Dojinsuon (道眞粹言) said to be written by Jeon Byeonghun only maintains its title, however, has not surfaced anywhere. I have discovered the writings by Jeon Byeonghun from Sunbulgajinsuorok (仙佛家眞粹語錄) and has historically researched its relation with this writing. I have also done some historical research on his life and Chinese poetry, which have not been widely understood. In this research I review the recently suggested criticism and suggest the necessity of accurate quotations of the previous researches along with the problems in the Jeon Byeonghun research.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Jeon Byeonghun, as there is no solid compilation of the original data, it poses risks related to misinterpretation and misunderstanding, and it is inevitable that scholars have different opinions in interpretation. When discussing and evaluating researched previously done, it is crucial to keep this in mind and have aneutral, objective perspective with accurate citation. Recently in our society, plagiarism is an important issue. Among these issues, the necessary point to be considered in our academia is not such technical plagiarism, but rather plagiarism that is not too obvious or idea copying. These are the area where people must rely on subjective opinions or that may cause mutual arguments, in turn fundamentally related to research ethics. In this light, the research must not be lazy in establishing his/her own opinions, as well as be hostile against the evaluation and citation of previously-done researches that support him/her.

Ⅰ. 서론
Ⅱ. 전병훈 연구의 문제점
Ⅲ. 최근의 전병훈 연구의 쟁점과 문제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