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82
216.73.216.182
close menu
KCI 등재
한국 창세신화(創世神話)의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reation Myth
박용진 ( Yong Jin Park )
선도문화 18권 41-79(39pages)
DOI 10.35573/JKSC.18.2
UCI I410-ECN-0102-2015-900-002082791

구전 창세신화에 속하는 「초감제」와 「창세가」는 모두 일종의 무가로서 중국 신화 및 도교와 유사한 면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한국의 무속신앙이 오랜 세월 전해 내려오면서 중국 문화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그러면서도 「초감제」와 「창세가」 모두 무가로서의 기본골격은 한국민족 고유의 전통적인 신화 맥락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마고할미」 신화는 한국의 여러 곳에서 전승되어 오고 있는 한국의 대표적인 창세신화라 할 수 있다. 「마고할미」 신화 역시 중국의 영향을 받은 부분도 보이지만 시대 변화에 따른 민간 전승자들의 가치관이 반영되어있다. 「초감제」와 「창세가」는 어느 정도 다듬어진 신화인데 비해 「마고할미」는 보다 순수한 구전 설화로서 민간의 소박한 세계관과 가치관이 담겨 있는 한국의 고유한 창세신화라 할 수 있다. 『규원사화』, 『환단고기』, 『부도지』 등의 창세신화는 비록 원본을 상실한 체 필사본 형태로 전해오고 있지만 처음부터 문헌의 형식을 갖춘 것들이다. 그리고 이런 문헌들은 대부분 중국에 대한 사대주의를 비판하면서 고유의 사상과 문화에 대해 자부심이 담겨있는 내용들을 많이 수록하고 있다. 이는 문헌 신화의 전승자들이 대부분 의식이 있는 지식층으로서 민족에 대한 주체성과 자긍심이 비교적 강했기 때문이라 볼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이들 문헌에 실려 있는 창세신화들은 구전 창세신화에 비해 비교적 중국의 영향을 받지 않은 독창적인 내용을 많이 담고 있다. 이와 같은 문헌 창세신화는 태초에 대해 기술함에 있어서 여러 사료들을 인용하고는 있지만, 신화적 상상의 세계에 대한 의문을 저술자 나름의 사관을 가지고 철학적으로 재구성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구전 창세신화와 문헌 창세신화 모두 한국의 창세신화가 중국의 창세신화와 차이가 나는 점은, 무엇보다 인간의 탄생을 하늘로부터 기원하는 것으로 묘사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창세신화뿐만 아니라 건국신화의 주인공에까지 나타나고 있어 한민족의 천손의식을 담은 표현이라 할 수 있다.

“Chogamje” and “Changsega” which belong to orally transmitted creation myth, are all examples of shaman songs, which suggest similarities between Chinese mythology and Taoism. This is because Korean shamanistic beliefs, having descended for ages, had been influenced by the Chinese culture. Nevertheless, both “Chogamje” and “Changsega” are all based on Korean indigenous traditional mythical context in terms of basic framework of shaman songs. Furthermore, it can be said that the myth of “Mago-halmi” represents Korea`s creation myth which has been passed down in various parts of Korea. Though the myth, “Mago-halmi” suggests that it was influenced by China, values which were handed down by private person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imes, are also reflected. By comparison with “Chogamje” and “Changsega” which were somewhat refined, “Mago-halmi” may be a more genuine oral folk tale as well as Korean characteristic creation myth including the folks` simple world view and value. Though creation myth including “Kyuwon-Sahwa”, “Hwandan-Gogi” and “Budoji” have been passed down in the form of manuscript, with their original copies having lost, they initially were in accordance with literature style. And most of these literatures show a lot of confidence of indigenous thought and culture, with criticizing toadyism to China. This is because most descendents who transmitted the myth of literature were intellectual and knowledgeable with rather strong national identity and self-esteem. In that sense, the creation myths in the literature have creative contents that was not affected by China in comparison with orally transmitted creation myth. Even the creation myths in literatures were based on different historical records in describing on the beginnings of the world, the question to the world for mythical imagination was reconstituted, philosophically by authors with a view of history.

Ⅰ. 서론
Ⅱ. 구전 창세신화의 내용과 특징
Ⅲ. 문헌 창세신화의 내용과 특징
Ⅳ.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