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23.241.58
18.223.241.58
close menu
}
KCI 등재
미국 서부 지역의 무형문화유산 한국춤 전승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mission of Korean Dances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in the Western Region of the U.S.
유미희 ( Mi Hee Yoo )
공연문화연구 30권 357-394(38pages)
UCI I410-ECN-0102-2015-600-002095286

이 논문은 미국 서부지역에 거주하는 한인들의 무형문화유산인 한국춤의 전승양상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지조사를 중심으로 LA, 라스베이거스, 시애틀, 하와이 지역에서 가장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는 한국춤단체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심층면담과 관련 비디오 분석을 통해 한국춤 전승방법과 연행형태를 춤 종목별로 조사함으로써 해외 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한국춤 전승의 특징과 의의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승주체자가 이민 제1세대로서 개인 무용가의 학습이력에 따라 한국의 전통춤을 원형 그대로 보존, 유지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LA, 라스베이거스, 시애틀, 그리고 하와이의 전승주체자들은 중요무형문화재춤과 더불어 신무용계열의 창작춤을 전승하고 있다. 즉,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춤들을 중심으로 이매방류, 한영숙류, 그리고 강선영류의 춤이 유파별로 전승되고 있으며 그주요 종목으로는 <살풀이춤>, <입춤>, <태평무>, <무당춤>과 신무용계열의 <부채춤>과 <노인춤>이 있다. 둘째, 소수민족으로서의 문화정체성유지에 집중하여 전승하고 있다. 셋째, 신무용의 양대산맥인 최승희와 배구자의 영향을 살펴 볼 수 있는 사적자료로서 근대무용의 중요한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권려성은 1948년에서 1950년까지 3년간 최승희에게서 사사받아 춤을 학습했으며 1960년대 한국무용의 대표 주자로서, 그녀의 춤은 최승희의 신무용적 표현을 반영하고 있다. 창작물 <부채춤>에 나타난 조형적인 포즈, 신체를 직립으로 수직적인 자세에서 상체와 하체의 비틀기를 통해 나타나는 대각선의 강조, 45도각도의 응시 등은 최승희의 근대무용에서 볼 수 있는 신무용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한라함전통무용연구소의 초대소장인 고(故) 배한라의 <무당춤>과 <노인춤>에 나타난 연극적인 몸짓과 스타카토식의 절도 있는 움직임, 해학적인 몸짓 등은 음악, 무용, 연극의 총체적인 가무극을 시도했던 스승 배구자의 영향을 유추해 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나타난 한라함전통무용연구소의 춤은 일본, 한국, 하와이에 거주했던 배한라의 문화적 여정에 따라 전통춤과 신무용의 특성이 혼재된 다채로운 양상으로 여타 미주지역의 춤과 차별성을 지니고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ttern of transmission of Korean t dances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mong Koreans living in the western region of the U.S. This study explored Korean traditional dance organizations working most actively in LA, Las Vegas, Seattle, and Hawaii mainly through field surveys, and analyzed the methods of transmission and performance styles of Korean traditional dances through in depth interviews and related videos. By these works, we examined how Korean traditional dances were being handed down as overseas cultural herit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ransmitters are 1st-generation immigrants, and efforts are being made to preserve and maintain the original form of Korean traditional dances according to individual dancers`` history of learning. The transmitters in LA, Las Vegas, Seattle, and Hawaii are transmitting dances designated a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created dances of new styles. That is, dances designated a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s of mainly Lee Mae-bang line, Han Yeong-sook line, and Kang Seon-yeong line are transmitted by group, and major dances transmitted are , , , and , and new dances such as and . Second, transmission is focused on the maintenance of the cultural identity of Korean people as a minority. Third,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modern dances were confirmed as historical materials showing the influence of Choi Seung-hee and Pae Gu-ja, the two prominent leaders of new dance. Stella Kwon(Kwon Ryeo-seong) learned dance from Choi Seung-hee for three years from 1948 to 1950, and as a representative leader of Korean dance in the 1960s, she expressed Choi Seung-hee``s new dance styles in her dances. The features observed in creative dance such as formative poses, emphasis on diagonal lines formed through the twisting of the upper and lower body standing vertically, and staring at 45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new dance found only in Choi Seung-hee``s modern dances. On the other hand, the dramatic motions, staccatic movements, and humorous gestures observed in and danced by the late Pae Hal-la, the first director of Halla-Huhm Traditional Dance Research Institute, suggest the influence of her teacher Pae Gu-ja who tried total musicals combining music, dance, and drama, and consequently created dances of Halla-Huhm Traditional Dance Research Institute bear the mixture of diverse styles of traditional and new dances obtained through the cultural journey of Pae Hal-la who had lived in Japan, Korea and Hawaii, so are distinguished from dances in other regions in the U.S.

Ⅰ. 머리말
Ⅱ. 미국 서부 한인사회와 무형문화유산 한국춤
Ⅲ. 춤 종목별로 나타난 한국춤 전승양상
Ⅳ. 미국 서부 무형문화유산 한국춤 전승의 특징과 의의
Ⅴ.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