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진관사 수륙재의 설행양상 및 특징을 살펴본 글이다. 진관사 수륙재의 재차를 제시했고, 다른 사찰의 수륙재와 비교하여 진관사 수륙재의 특징을 제시했다. 하지만 조선시대에 설행되었던 수륙재의 모습이 그대로 계승되었는지는 명확하게 밝히기 어렵지만 21세기 불교문화의 흐름과 의미가 그대로 투영된 것은 분명하다. 따라서 전통의 계승 여부를 떠나 당대의 불교문화가 어떤 모습을 보이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점에 진관사 수륙재의 의미가 있다. 특히 사십구재의 형식으로 진행되는 진관사 수륙재는 현대인들에게 매우 익숙한 사십구재의 형식을 보여줌으로써 수륙재가 가지고 있는 의미를 좀 더 명확하게 나타낸다. 하지만 아직 장엄 부분이 해마다 보완되고 있다는 점, 의식집에 세부 재차가 수정되고 있다는 점, 각 단에 올라가는 공양의 의미가 좀 더 명확하게 설정되어야 한다는 점은 앞으로의 과제가 되겠다. 특히 수륙재를 설행하는 주체가 진관사이지만, 의례에 참가하는 진관사 내적 구성원의 역할 증대는 앞으로 반드시보완되어야 할 과제이다. 다행이 진관사에서는 수륙재학교를 개설하여 범패, 지화, 장엄, 의례 연구 등을 교육하고 있으므로 앞으로 이러한 문제가 상당 부분해결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holding Jingwan-sa Gukhaeng Suryukjae (the National Ritual for the Beings of Water and Land). It also suggests the procedure of Jingwan-sa Suryukjae and characteristics of it compared with Suryukjae in other temples. It is hard to prove clearly that the Suryukjae that was practiced in Chosun has been transmitted up to now as it was, but it is certain that it still plainly reflects the trend and significance of the 21st century Buddhist culture. Therefore, Jingwan-sa Suryukjae is significant not because of its transmission of tradition but because of the fact that it tells us how Buddhist culture looked like at that time. In particular, Jingwan-sa Suryukjae that proceeds in the form of Sasipgujae shows contemporaries a very familiar form of Sasipgujae, so we can see the significance of Suryukjae even more clearly. However, we still have some more tasks to do regarding its Jangeom part that is still being complemented every year, the ritual procedure in the collection of rituals that is being modified in detail, and the meaning of Gongyang placed on every podium that need be established more clearly. In particular, the subject that holds Suryukjae is Jingwan-sa, but it is needed to increase the roles of internal members of Jingwan-sa participating in the ritual. This is also a task that must be done in the near future. Fortunately, in Jingwan-sa, Suryukjae School opened and has been providing education about its Beompae, Jihwa, Jangeom, or rituals; thus, this problem is expected to be solved considerably in the near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