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행복증진 프로그램이 대학 배드민턴 선수의 심리 및 생리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대학 배드민턴 선수 10명을 대상으로 선수 심층 면담 내용, 개방형 질문지, 기존의 행복증진 프로그램 선행연구, 전문가 회의를 통해 행복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행복증진 프로그램은 한 회기당 90-120분씩 총 12회기이며, 세부 내용은 오리엔테이션, 신뢰형성 및 행복에 대한 자기이해, 자아존중감 향상시키기, 내적통제성 기르기, 대인관계 개선, 스트레스 대처하기, 경기력 향상시키기, 행복증진 프로그램 실천및 종결로 구성되었다. 행복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측정도구로 행복검사지Ⅰ, 행복검사지Ⅱ, 자아존중감, 내적통제성, 대인관계,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인지된 경기력 검사지가 사용되었으며, 생리적 변인으로는 코티졸과 세로토닌을 활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행복증진 프로그램은 대학배드민턴 선수의 행복감, 자아존중감, 내적통제성,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는 통계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행복증진 프로그램이 대학배드민턴 선수의 대인관계, 인지된 경기력, 코티졸, 세로토닌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개방형질문지와 심층면담 자료를 통해 연구대상자들이 행복증진 프로그램이 자신의 심리 및 생리적 변인에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happiness improvement program on psychological variables which were happiness feeling,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stress, coping, perceived performance and physiological variables such as cortisol and serotonin of collegiate badminton player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10 collegiate badminton players. Happiness improvement program for collegiate badminton players was developed by previous literatures, in-depth-interview, psychological test data, and consultation of happiness improvement experts. The happiness improvement program consisted of 12 intervention program: orientation, rapport development and the understanding happiness, self-esteem enhancement techniques,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ategies, stress and coping management, peak performance methods, and action plan of happiness improvement program. Each program was applied to participants in about 90-120 minute a session(2-3 times session a week). The instruments of this study were made up of three broad categories: (a) psychological data, b) physiological data, and (c) qualitative data. Firstly, happiness improvement program significantly increased happiness feeling, self-esteem,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coping skills of collegiate badminton players. Secondly, happiness improvement program significantly decreased stress of collegiate badminton players. Thirdly, participants positively perceived the effects of happiness improvement program on psycho-physiological variabl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implication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