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교역은 제1.2차 남북정상회담 이후 본격화되고 있다. 남북경협의 활성화는 북한경제의 자생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북한경제성장에 상당한 동력을 가져올 수 있다. 북한은 제2차 남북정상회담 이후 남북관계개선에 대한 적극적인 입장을 표명하고 있으며, 이는 북한경제발전을 위해서도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또한 남북경협은 한반도 정세 및 동북아안정에 상당한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남한은 이미 북한의 제1 경제교역 상대국으로서의 위치에 놓여 있으며, 이는 향후 전개될 남북교류 진척 속도에 따라 질적 변화를 가져올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남북관계의 진전은 남북한 신뢰를 기반으로 하고 있기에 남한의 정권교체에도 불구하고 지난 2007 남북정상선언에 대한 성실한 합의이행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다. 남한의 자본과 기술은 북한의 저렴한 노동력과 지하자원개발을 통해 남북한 지역경제협력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1989년부터 시작된 남북교역은 2005 년 10억 달러 달성 이후 2007 년도에는 사상최고액인 약 18억 달러를 돌파하여 향후 남북경협활성화에 따라 그 교역규모는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남북경협의 활성화는 침체된 북한경제를 활성화시키는 촉진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현저한 남북한 경제력 격차를 좁혀 나감으로써 통일대비 비용절감과 민족동질성 강화, 한반도평화체제 발판구축, 동북아지역정세 안정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남북경협이 활성화되기 위한 전제조건은 남북한 당국이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한 지속적인 남북교역을 진행시켜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즉 남북한이 2007 년 제2차 남북정상회담에서 합의한 2007 남북정상선언의 성실한 이행여부가 향후 남북한 상호신뢰를 가늠하는 중요한 척도가 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남북경협은 이미 구성된 남북경제협력공동위원회에서 남북경제교류관련 제반분야를 관할하여 일관성 있게 추진해 나가는 노력이 필수적이다 현 시점에서 남북경협활성화는 북핵문제로 고립된 북한경제를 점진적으로 개혁해 나갈 수 있는 현실적 대안이다. 북핵문제 해결의 속도부진이 계속됨에 따라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남북경협은 향후 경제교류를 통해 한반도정세변화를 도모하는 기능주의적 접근을 시도해 나가야 할 것이다.
Trad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has accelerated since the first and second Summit talks. Active economic cooperation will improve the ability of North Korea to stand on its own and bring significant economic growth in North Korea. The improvement of South and North Korean relations since the second summit will allow for continued development of the North Korea economy for a while longer. North and South Korean economic cooperation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ocial condition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stability to East Asia. South Korea is the largest trading partner of North Korea, which is very likely to bring qualitative changes according to speed of ex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However, as the North and South Korea relations is based on mutual reliability, what is agreed in 2007 Summit will be progressed In spite of administrative changes in South Korea. The capital and technology in South Korea can prepare a foundation of regional economic cooperation through low labor cost and development of underground resources in North Korea. The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starting from 1989 broke 1.0 billion dollars in 2005 and reached about 1.8 billion dollars in 2007 which is a record level. With the continuing increases in cooperation the amount is very likely to increase further. Active economic cooperation will boost the depressed economy of North Korea and narrow the difference in economic power between the Koreas. It will also have an enormous impact on reducing long-term unification costs. reinforcement of national homogeneity, construction of the foundation for a Korean peninsula peace and political and social stability in North East Asia. However, a prerequisite to activation of the economic cooperation is to progress continuous trade between two countries based on mutual trust. That is, whether what was agreed and promised in the 2007 Summit progresses sincerely will be an important measure to judge mutual trust, With this in mind. the economic cooperation committee should focus on economic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for steady progress. At this point, activation of economic cooperation is a real alternative to gradually reinvigorate the isolated economy of North Korea. As inactivity to solve the North Korea nuclear issue continues, the cooperation will make a functional approach to develop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in the Korean peninsular through further economic exchan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