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8
18.97.14.88
close menu
조선 이성계 세력과 명과의 관계
Relations between Powers of Lee Sung-Gye, Joseon Period and Ming
조민 ( Min Cho )
UCI I410-ECN-0102-2015-900-002098928

이 글은 고려말 이성계가 1388 년 요동정벌을 위해 출병하여 ‘위화도 회군’이후 1392 년 새로운 국가 조선을 창건하기까지 나타난 정치세력갈등과 이성계의 대명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 논문이다. 고려말 정치권력은 실권자 최영 세력에 의해 정국이 주도되고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우왕 14년 2월 명(明)의 철령 이북지역에 대한 명의 ‘철령위’설치문제는 고려와 명(明)과의 관계에서 새로운 외교적 문제로 부상했다. 이 문제 해결에 대해 최영 중심의 강경파와 평화적 해결을 주장하는 이성계 중심의 온건파 간의 입장변화는 결국 요동정벌이라는 최영 강경파 주장이 관철되어 결국 이성계가 군대를 지휘하게 되었다. 명(明)‘철령위’설치문제는 최영과 이성계 세력간의 세력싸움으로 발전하여 요동정벌에 나선이성계가 결국 위화도에서 회군을 감행하여 고려말 정국 주도권을 장악함으로써 마무리되었다. 그러나 이성계가 1392 년 조선을 창건하기까지는 고려말 이성계 반대세력의 저항으로 말미암아4년이라는 시간이 경과될 수밖에 없었다. 이성계의 조선건국으로 조선과 명(明)새로운 친선관계로 발전하게 되었고, 이후 조선 이성계는 고려말 강경한 대명정책보다는 온건한 대명정책을 추진했다.

This study analyses conflicts of political powers until Lee Sung-Gye sent troops to conquest Yodong in 1388 at the late Goryeo period and founded a nation named Joseon in 1392 through ``Weehwado Withdrawal`` and the relations between him and Ming. Political power of the late Goryeo was dominated by Choi Young. a person in political authority and his powers. On the 14 years and two months of King Woo``s reign. an issue of `` Cheolryungwi`` establishment became a new diplomatic problem to be taken care of in the relations between two nations. As positions between the hard-line faction led by Choi Young and the moderate faction led by Lee Sung-Gye who insisted its peaceful solution changed. Choi Young``s opinion of ``Yodong Conquest`` was carried through. which brought Lee Sung-Gye to become a leader of the army. As the issue of ``Cheolryungwi`` establishment progressed to be a struggle between the two factions and Lee Sung-Gye who led the conquest dared to withdraw the army at Weehwado and dominated the political power. However, until Lee Sung-Gye founded Joseon in 1392, four years passed because of resistance of the opposite power. Based on the Joseon foundation, Joseon and Ming developed friendship and maintained the peaceful policy against Ming rather than hard-line polic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