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관용수준 현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관용의 인지적, 정서적 요인과 관용적 행동을 성별 및 학년에 따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관용에 대한 지식, 관용과 관련된 판단력을 관용의 인지적 변인으로, 공감적 각성, 공감적 관심을 관용의 정서적 변인으로 상정하고 이러한 변인들과 관용적 행동이 성별과 학년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소재의 초등학생 총 543명에게 자기보고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510부의 자료를 두 독립표본 t 검정, 일원분산분석, Fisher의 LSD 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우리나라 초등학생은 관용에 대한 지식과 관용적 행동은 발달하였으나 관용과 관련된 판단력, 공감적 각성과 공감적 관심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용에 대한 지식, 공감적 각성, 공감적 관심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고 관용과 관련된 판단력, 관용적 행동은 유의미한 성차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관용에 대한 지식은 초등학교 4학년이 2학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공감적 각성, 공감적 관심, 관용적 행동은 4학년이 2학년과 6학년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관용과 관련된 판단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관용교육의 실제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toler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and school year. Based on previous research, tolerance was classified with three sub-areas such as cognitive factors, emotional factors, and tolerant behaviors. Cognitive variables of tolerance comprised of knowledge of tolerance and moral judgment, while emotional variables of tolerance consisted of empathic arousal and empathic concern. A self-report survey was answered by 543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final data of 510 students were analyzed by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way ANOVA. Fisher`s LSD was used for the post-hoc comparison of ANOVA. First, it was found that the knowledge of tolerance and tolerant behavior were higher than moral judgment and empath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knowledge of tolerance, empathic arousal and empathic concern of fe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male students. However, little gender difference was found in moral judgment and tolerant behavior. Finally, The knowledge of tolerance of 4th graders was higher than that of 2nd graders. The empathic arousal, empathic concern and tolerant behavior of 4th graders were higher than those of 2nd and 6th grade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oral judgment according to school year. This study would give implications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o foster toleranc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