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17.166.156
18.217.166.156
close menu
}
KCI 후보
퇴계(退溪) 문학(文學)의 학문적(學問的) 지향(志向) 연구
Special Edition : A Study on Scholarly Orientation in Toegye`s Literature
김병권 ( Byeong Kweon Kim )
퇴계학논총 24권 33-55(23pages)
UCI I410-ECN-0102-2015-100-002107055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의 학문은 주자학을 계승한 성리학이라고 평가된다. 그리고 그의 학문은 시를 창작한 연원이 되었고, 많은 작품에서 그것을 읽을 수 있다. 퇴계의 학문은 파급력을 가지면서 퇴계학파라는 큰 맥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퇴계는 학문이 이(理)를 다함을 귀하게 여겼으며, 학문의 방법은 주자학을 계승하였고, 학문의 목적은 이치를 궁구하고 본성을 다하여 천명에 이르는 데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퇴계학에 대한 연구는 국내에만 한정되지 않고 일본, 대만, 중국, 그리고 미국에까지 확산되고 있다. 퇴계는 길가의 풀 한 포기나 산 속에 있는 옹달샘이나 우물에서도 자연의 이치를 발견하였으며, 자신이 지향해야 할 가치를 모색하였다. 그리고 물고기나 솔개를 통해서 자연의 이치를 사색하고 사람이 지녀야 할 본성을 탐구하였다, 이처럼 퇴계는 자연을 통찰하여 그 이치를 탐구한 즐거움을 여러 시 작품에서 표현하였던 것이다. 그 대표적인 시 작품들이 도산서당에서 학문을 연구면서 지었던 시들을 모은 「도산잡영(陶山雜詠)」에 전해지고 있다. 따라서 퇴계에게 학문과 문학은 둘이 아니었음을 쉽게 이해하게 된다. 퇴계의 문학은 그 자체만으로도 충분한 연구 가치가 있다. 그렇지만 한편으로는 퇴계학의 현대화와 세계화를 위한 방향으로 연구되어야 할 필요도 있다. 그리고 퇴계는 스스로 지향했던 학문을 문학 창작에 어떻게 활용하고 표현했는지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다고 하겠다.

Toegye Yi Hwang`s scholarship has been evaluated as Neo-Confucianism in succession to the doctrines of Chu-tzu. Chu-tzu`s scholarship was a crucial source for Toegye to create his poems, as shown in a wide range of his work. As Toegye`s scholarship gained a considerable academic influence, the Toegye school was formed as one of the main schools during Chosun Dynasty. Toegye valued to pursue the natural law and followed Chu-tzu`s scholarly methods. For Toegye, a primary goal for scholarship was to achieve reasoning, seek the human nature, and aspire to the heavenly mandate. Research on Toegye has not only been diffusing in Korea, but also been widespread all around the world including Japan, Taiwan, China, and the US. Toegye discovered the order of nature through one clump of grass on the street and a spring in the mountain, exploring his values that he attempted to follow. He also contemplated the order of nature and sought to the human nature through fishes and kites. Toegye`s Dosanjobyoung included his representative poems that he create in the pursuit of scholarship in the Dosanjobyoung. Thus, for Toegye, scholarship and literature merged together. Toegye`s literature has substantial research values by itself. By extension, studies will need to aim for modernization and globalization of Toegye Study. Finally, researchers should explore how Toegye expressed his thoughts in the process of his creation of literary work.

Ⅰ. 서론
Ⅱ. 學貴窮理의 學問的 지향
Ⅲ. 本性發見의 文學的 표현
Ⅳ.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