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0
18.97.14.80
close menu
Accredited
동아시아의 세 사람 주령(酒令)형 소화
A Study on 3 People Shu-rei Type`s Comedic Stories in East Asia
금영진 ( Young Jin Keum )
동양학 vol. 57 23-39(17pages)
UCI I410-ECN-0102-2015-900-002116621

한국 고전문학에서 ‘爭長’ ‘爭座’ ‘訟事’ 등의 쟁변형 설화로서 연구되는 이야기들에는 세 명이 등장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일본근세소화를 비롯한 동아시아 소화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필자는 지금까지 이러한 세 사람이 등장하는 쟁변형 패턴의 소화가 동아시아에서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 살펴왔는데 주령(酒令)과 관련된 소화에서도 마찬가지로 세 사람이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과, 비슷한 모양의 한자나 삼자음, 또는 숫자를 이용한 언어문자유희방식의 주령형 소화도 풍부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동아시아에 보이는 이러한 세 사람 주령형 소화들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그 전개양상과 영향관계에 대해 좀 더 살펴보았다. 먼저, 제1장 서론에서는 선행연구와 더불어 세 사람 쟁변형 소화의 네 가지 특징에 대해 소개하였다. 세 번째 등장인물이 골계발생에 있어서 하는 역할과, 동물의 의인화, 중국논쟁문학과의 관련성, 그리고 불교 동물설화와의 유사성에 대한 해설이 그것이다. 그리고 제2장에서는 일본근세 소화에 보이는 세 사람 주령형 소화와 비슷한 패턴의 이야기가 한국 및 중국소화에도 보인다는 점을 지적, 동 패턴의 일본소화가 많든 적든 중국 주령소화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에 대해 서술하였다. 끝으로 제3장에서는 굳이 세 사람이 등장하지 않다 하더라도 그 형식과 내용에 있어 별반 다를 것 없는 주령형 소화들을, 문자유희, 삼자음, 그리고 숫자와 관련된 내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여기에서 제3장을 두는 이유는, 주령형 소화라고 해서 꼭 세 사람만이 등장하는 것은 아니라 예외 또한 얼마든지 있다는 사실을 상기시킴으로써 동 패턴 주령소화에 대한 불필요한 오해를 피함과 동시에, 세 사람 패턴에 구애받지 않고 보다 폭넓게 동아시아에서의 주령형 소화의 전개 양상을 통관하기 위함이다.

We can see that there are 3 people argue about whose opinion is better than others, from 3 people shu-rei type’s comedic stories in East Asia. Especially, I paid particular attention to Japanese shu-rei type’s comedic stories are so similar to korean and Chinese same things. I assumed that there are two pattern’s potentialities. one thing is that Chinese shu-rei influence Korea and Japanese literature, and as a natural consequence it follows that shu-rei type’s comedic stories independently growth in Korea and Japan. The other thing is that shu-rei types Chinese comedic stories influence these nearby country’s shu-rei types comedic stories. And it seems that these two possibility is also can readily be imagined. In first chapter, I introduced 4 point of special property about 3 people’s controversy types comedic stories in East asia. The first is that third man play an important part in laugh’s development, the Second is that 3 animals are personified in 3 people types comedic stories, the third is that 3 people’s controversy type is related to Chinese controversy literature. In second chapter, I suggested that there are 3 people shu-rei types in China, korea, and Japan, and which thing is very similar. It means that Japanese 3 people shu-rei type comedic stories are influenced from Chinese same things. In third chapter, I introduced that there are also the other types shu-rei stories and which quantity is equal to 3 people shu-rei types in East asia.

Ⅰ.서 론
Ⅱ. 세 사람 주령(酒令)형 소화
Ⅲ. 그 밖의 주령형 소화
Ⅳ. 결 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