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이후 청소년은 의무교육, 학교교육 보편화로 인해 대부분이 학교에 다니고 있다. 그러나 학교는 근대화, 산업화에 따른 양적성장으로 인해 학교안전사고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학교안전에 대한 연구도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안전에 대한 연구동향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학교안전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학교안전 관련 연구 과제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안전 관련 학술지 논문 136편을 대상으로 연구현황, 연구내용,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문헌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논문은 학교안전사고가 누적되고 사회적으로 심각성이 제기되었던 2003년 이후로 증가하였다. 둘째, 교육시설, 학교보건, 보건교육 분야에서 주로 연구되고 있으나 68개의 학술지에 발표될 정도로 매우 다양한 영역에서 단절적으로 발표되었다. 셋째, 초등학생과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비중이 높았다. 넷째, 연구방법은 조사연구와 문헌연구가 61.59%나 차지한다. 다섯째, 연구주제는 교육, 보건, 시설, 급식 분야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정서, 심리, 상담 측면의 접근은 미흡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학교안전 연구의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IEntering the modern era, most of youths go to school following the compulsory education and generalization of school education. Meanwhile, the school safety accidents are growing due to the quantitative growth of schools resulting from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s a result, studies on the school safety also increased. Thus,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research trend for the school safety so far and identifying research projects. For this, 136 theses on the school safety were selectedfrom academic journals, and literature analysis was done thoroughly. The analysis was conducted focussing on the research subjects, contents, and topics. First of all,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number of school safety accident increased since 2003 when its accumulation and seriousness began to receive attention. Secondly, research topics were concentrated on the fields of education facilities, school health, and health education, but the publications were spontaneous with very broad coverage, being published in as many as 68 academic journals. Thirdly, a large proportion of the research involved primary school students and disabled children. Fourthly, the methodologies of the papers were mainly survey study and literature study, occupying 61.59% of the total research papers. Asfortheresearchsubject,education,health,facility,andschool meal showedhighest frequency, while few studies dealt with emotion, mentality and counseling. Based on the analysis, the future research of the school safety is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