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자기 장애화, 감각 추구, 자의식, 통제 소재 및 자존감과 같은 심리적 특성이 지연행동 유형에 어떻게 관련되는지 탐색하고 이에 따른 정서적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수도권 내에 거주하는 대학생 434명에게 수동 지연 척도(GP), 능동 지연 척도(APS), 자기 장애화 척도(SHS), 자의식 척도SCS), 감각 추구 척도(SSS-V), 내외 통제 소재 척도(I-E Scale), 자존감 척도SES), 우울(BDI) 및 불안(BAI)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높은 수준의 자기 장애화, 감각 추구, 공적 자의식, 낮은 수준의 자존감, 내적 통제는 수동 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낮은 수준의 자기 장애화, 공적 자의식, 높은 수준의 자존감은 능동 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동 지연행동 집단과 능동 지연행동 집단의 정서적 고통 수준을 살펴보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self-handicapping, self-consciousness, sensation seeking, locus of control and self-esteem on procrastination behavior subtype and psychological distress related with active-passive procrastination. 434 of university students, who live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asked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that was made up Passive Procrastination(GP), Active Procrastination Scale(APS), Self-Handicapping Scale(SHS), Sensation Seeking Scale-V(SSS-V), Self-Consciousness Scale(SCS), Internal- External control Scale(I-E Scale), Self-Esteem Scale(SES),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Beck Anxiety Inventory(BAI).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active-passive procrastination was affected by level of self-handicapping, sensation seeking, public self-consciousness, internallocus of control and self-esteem.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active procrastination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with passive procrastination. And then, emotional distress related with subtype of procrastination were explored. Finally,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consid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