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Lee and Lee(2012)에서 보고된 데이터를 재 분석한다. 이 데이터는 한국인 성인 영어 학습자의 문법, 비문법적인 장거리 wh-의문문을 포함하고 있다. 영어에서 비문법인 wh-범위표상 구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이유를 설명하고자 ‘NP-shell’(Stepanov, 2000; Stepanov & Stateva, 2006)을 도입하였다. 또한 구조복합성가설(Jakubowicz & Strik, 2008; Jakubowicz, 2011)을 도입하여 여러 장거리wh-의문문의 변형을 분석하였다. 이 가설이 장거리 wh-의문문에 내포된 처리비용을 계산할 수 있는 신뢰되는 요소일 수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형식적인wh-자질인 [WH]와 이 [WH]자질과 함께 이동하는 어휘군을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wh-의문문은 장거리 혹은 단거리와 상관없이 [WH]의 내부병합은 자동적이며 보통 일정하게 규칙적이다. 즉 C의 가장자리자질 [EF]는 상응 자질인[WH]와 즉각적으로 일치하게 되며 의문문의 구조가 성립되어 한정된 집합체에서 특정한 개체를 묻는 정보를 요구하게 된다. 어휘군은 [WH]자질과 함께 이동하는데 이때 초월되는 국면의 개수 그리고 어휘군 내 어휘 개수에 따라 처리비용이 부가되는데 바로 비용이 wh-의문문 습득 혹은 발달 측정에 이용되어야 한다.
This paper re-examines the data reported in Lee and Lee (2012). The data include grammatical and ungrammatical long-distance (LD) wh-questions in English as produced by adult Korean speakers. Lee and Lee put forth data of the prevalent occurrence of wh-scope marking in English, and adopted the concept of ‘NP-shell’ (Stepanov, 2000; Stepanov & Stateva, 2006) to account for wh-scope marking. In this paper, the Derivational Complexity Hypothesis (Jakubowicz & Strik, 2008; Jakubowicz, 2011) was adopted to evaluate the variants of LD wh-questions. Although this hypothesis can be a reliable factor to calculate the processing cost involved in the syntactic derivation of LD wh-questions, this paper, however, separates the abstract formal wh-feature [WH] from lexical items (LIs) that pied-pipe it. In wh-questions, whether long-distance or matrix, Internal Merge of [WH] is spontaneous and generally uniform, in the sense that the edge feature [EF] in C head readily agrees with its matching feature [WH], once the structure is realized to be interrogative asking for the information of certain objects out of a predetermined set of elements. The number of phases and the amount of LIs that LIs must pied-pipe [WH] are subject to the assessment of cost, which are what the study of the acquisition or the development of wh-questions should meas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