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 정책패러다임의 변화로 인한 보건소 건강증진인력이 직급별로 갖추어야 할 역량을 도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여, 이들 인력의 역량강화를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근거마련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 지역사회 건강증진인력의 직급별 핵심역량을 도출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우선 국내외 문헌고찰을 통해 지역사회 건강증진인력의 핵심역량을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현장전문가인 보건소 건강증진인력을 대상으로 초점집단 토의를 실시하여 직급별 역량을 도출하였다. 또한 도출된 역량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건강증진 학계전문가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보건소장에게는 보건소 내·외부를 소통하고 협력체계를 구축해나가기 위한 리더십 관련 역량으로 조직관리와 리더십, 네트워크 구축 및 관리로 나타났으며, 과장은 보건소장과 실무자 간의 역할과 보건소 사업 간의 의사소통 및 갈등관리 역량이 필요하였으며, 이를 위해 의사소통, 기획 및 조정, 조직 및 업무관리가 필요한 핵심역량이었다. 계장은 지역주민에게 요구되는 사업을 진단하고 기획하는 역량으로 기획력, 사업추진 및 수행능력, 사업모니터링 및 평가역량이 주요한 역량으로 분석되었으며, 실무자는 직접적으로 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역량으로 사업에 대한 이해력 및 수행능력, 의사소통, 기획능력으로 나타났다. 결론 : 지역사회 건강증진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직급별 역량에 기반한 교육계획을 수립하고, 향후 단계별로 역량강화 교육체계를 수립해야 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mmunity health promotion workforce corecompetencies by position. Methods: To accomplish the purposes, first of all, we conducted the literature review. Second, we sought advices about the ideal qualified workforce and the common capability to perform the work from 517 persons in charge of health program and 13 heads of health work support groups. Finally based on aforementioned results, we suggested competency-focused education contents. Results: The result shows that the ideal qualified workforce should have a communication ability since the connection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resources became more important. Also creative, active and integrated ability are needed. The essential competencies are different as positions. The heads of public health center``s essential competencies are organization management, leadership and building networks. They were asked to have leadership-related competencies as a head. The administrators``s essential competencies are communication, planningand coordination and organization or task management and they are asked to perform as a intermediate staff. The managers`` essential competencies are planning, performing and monitoring. They need actual performing-related competencies. Conclus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will suggest the education system and also by positions. And the common core competency education is for all workforce and consists of basic education and position-specific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