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단기소득 임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실태를 분석하였다. 조사내용은 인구통계학적 특성, 구매품목과 장소, 구매주기와 가격, 구매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 고품질에 대한 추가지불, 소비촉진과 활성화 방안 등이다. 분석결과, 소비자들은 버섯류와 곶감류의 구매가 많았고, 장소는 대형마트가 많았다. 그리고 구입시에 맛, 양, 가격, 원산지표시를 중요시 하였고, 구입동기는 건강, 친환경, 안전성의 순이었다. 또한 고품질 단기소득 임산물의 우선구매와 추가지불의 의향도 있었다. 소비촉진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유통망 구축과 지속적 홍보가 필요했으며, 단기임산물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좋은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었다. 단기소득임산물은 생산지의 분산성, 제품의 계절성이 강하고 제품의 특성상 부패와 품질저하의 위험성이 높은 특징을 갖고 있다. 이로 인하여 품질의 규격화와 표준화 등이 어려워서시장을 확대시켜 나가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단기소득 임산물에 대한 소비자 인식실태를 바탕으로 보다 체계적인 생산 및 마케팅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us of consumers`` recognition on non-timber forest products. The contents of investigation includ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ems and places of purchase, period and price of purchase, elements which are considered important for purchasing, additional payment for high quality, consumption promotion and revitalization measures.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the items purchased most by consumers were mushrooms and dried persimmons and the most popular place to purchase was the major retail stores. And, the factors considered for purchasing the non-timber forest products were taste, quantity, price and the indication of the origin. Also, the motives to purchase include health, eco-friendly and safety, and in case of high quality non-timber forest products, consumers showed their intention to purchase on the preferential basis and pay additionally. And, the analysis result also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distribution channel and carry out the publicity activities continuously in future in order to promote the consumption of non-timber forest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