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50.71
3.145.50.71
close menu
KCI 등재
학교체육영역 : 중학생 신체적 라이프스타일의 실태파악과 젠더 차이 분석
An Analysis of Gender Difference on Physically Active Lifestyle among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이규일 ( Gyu Ll Lee ) , 강형길 ( Hyoung Kil Kang )
UCI I410-ECN-0102-2015-600-002147416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최근 비만의 대안적 개념으로 신체적 라이프 스타일 개념이 각광받고 있다. 신체적 라이프 스타일 개념은 청소년 건강의 현재 문제 및 습관화를 통한 미래의 건강 문제를 예방할 수 있고,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대처전략을 제시할 수 있는 강점이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신체적 라이프 스타일의 실태조사와 젠더 차이에 대한 이해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학생의 신체적 라이프 스타일을 알아보고, 학생들이 신체활동의 권고 기준에 충족하는지, 그리고 신체적 라이프 스타일의 영역과 강도에 있어 젠더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총 300부의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가 중학생들에게 배부되었고, 이중 278부의 설문지가 본 연구에 이용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분석,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이 SPSS 18.0을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중학생들의 신체활동은 학교영역과 여가영역에서 많은 부분 이루어지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교통영역과 집안일 영역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젠더차이는 저강도, 중강도 신체활동영역에서는 나타나지 않았고, 고강도 신체활동영역에서 나타났다. 또한 약 49%의 남학생과 약 26%의 여학생이 중고강도 신체활동 권고기준에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고강도 신체활동의 젠더 차이를 야기하는 원인을 심리적, 제도적, 그리고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살펴보았고 이에 대한 교육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Studies have recently focused on the concept of physically active lifestyle, an alternative for an obesity-focused approach, because physically active lifestyle can provide more proactive and detailed strategies to cope with adolescents’ inactivity.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Korean adolescents’ physically active lifestyle. Thus, this study was aimed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Korean adolescents’ physically active lifestyle with regard to gender differences. A total of 300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7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and analysis of covariance were conducted using SPSS 18.0. Results showed that the majority of physical activity occurred in school and leisure time, and active transportation and house work areas did not largely contribute to Korean adolescents’ physical activity. Gender differences were not found in low and moderate physical activity but were obvious in vigorous physical activity. About 49% of male students and 26% of female students met recommended Moderate Vigorous Physical Activity standard. Identified gender differences were discussed in light of psychological,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constraints to physical activity for female students. Educational strategies were also provided in the discussion sec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