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2
216.73.216.142
close menu
KCI 등재
1920년대 근대적 디벨로퍼의 등장과 그 배경
The Advent of Korean Developers during the 1920`s
구경하 ( Kyoung Ha Koo ) , 김경민 ( Kyung Min Kim )
UCI I410-ECN-0102-2015-300-002169179

일제하 경성부의 근대식 한옥 개발은 조선인 디벨로퍼의 주도로 1920년대에 본격화되었다. 이들이 등장한 배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인의 이주와 조선인의 이농으로 인구가 급증했다. 특히 일본인의 근거지가 청계천 이북으로확장되면서, 지가가 상승하고 기존 필지를 분할하는 압축적인 개발이 나타났다. 둘째, 식민지 당국의 주거대책 부재로,조선인의 주택난이 극심하였다. 셋째, 조선인 건설업자들은 토목공사 입찰에서 배제되어 조선인 대상 주택을 주로 건설하였다. 정세권 선생의 건양사와 같은 근대적 디벨로퍼들은 토지 매입, 분필, 주택 설계와 개발, 분양 등 근대적 부동산 개발 방식을 통해 조선인에게 근대식 한옥을 공급했다. 이들의 활동으로 1920~30년대 경성부에 10~40평형대의 근대식 한옥 단지가 형성되었다.

After colonization by the Japanese Empire, Seoul had experienced structural changes duringthe 1920s. As the number of residents increased dramatically, the land price of Seoul began to skyrocket,bringing about a new type of real estate developers. They invented a new type of hanok, which is verysmall compared to a traditional hanok, by dividing a large parcel of land into several small pieces. Thesehanoks were built by Korean developers who ran their business like modern developers today-acquiringlarge piece of land, developing and selling the property, and even providing financing schemes to buyersin some cases. However, the Korean developers mainly provided housing to the poor Koreans suffering from housingshortage. At the time, many Koreans worried that the City of Seoul would turn into a Japanese city, sincethe Japanese were trying to expand their real estate development to the north of Cheonggyecheon. However,their development plans have been neglected,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activity of the KoreanJerry-builders in the north.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evaluate the role of the Korean developers inreal estate development during the colonization period, especially in the 1920s.

1. 서론
2. 1920년대 경성부 인구학적 변화
3. 경성부 내부의 공간 성격 변화: 일제의 종로 진출
4. 토지 및 주택 시장의 변화
5. 조선인 주택건설 주체로서 근대적 디벨로퍼의 출현
6. 결론: 근대적 디벨로퍼의 역할과 의의
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