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한국의 창조경제와 창조도시에 관한 정책과 담론
Policy and Discourse of Creative Economy and Creative City in Korea
최병두 ( Byung Doo Choi )
UCI I410-ECN-0102-2015-300-002169124

이 논문은 한국의 창조경제 및 창조도시 정책과 담론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우선‘정책 이전’(또는 이동)의 개념을 원용하여 서구에서 등장한 창조경제 및 창조도시 정책과 담론이 국제적 확산과정에서불가피하게 변화할 수 있음을 지적한다. 이를 전제로, 이 논문은 2000년대 후반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추구했던 창조도시 정책과 현 정부의 박근혜 대통령이 제시한 창조경제 정책과 담론이 등장·전개된 배경과 과정을 서술한 후, 이들의 정책과 담론이 실제 개념을 왜곡하거나 구체적 내용을 결여한 통치 수단 또는 정치적 수사로 기능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특히 이 논문은 현 정부의 창조경제 정책 및 담론이 이와 내적으로 연관된 두 가지 기본 개념들, 즉 경제민주화와창조도시의 개념을 의도적으로 배제하거나 또는 비의도적으로 간과함으로 긍정적 실효성을 거의 가지지 못하게 되었다고 결론짓고자 한다.

This paper is to analyze critically policy and discourse of creative economy and creative city. Applying the concept of ‘policy transfer’ or ‘policy mobility’, It points out that it may be inevitable for acertain policy or discourse developed in Western society to change its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in itsinternational diffusing process. And then, this paper describes political contexts and process in which thepolicy and discourse of creative city of a former mayor of Seoul, Oh, Se-Hoon, during the late part of the2000s, and those of creative economy of the current president, Park, Geun-Hye, have been suggested andpursued, arguing that those policies and discourses, having been distorted and lack of concrete contents,have functioned as a key ruling tool or political rhetoric. In particular,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policy and discourse of creative economy of the current government would have little positive effect dueto excluding intentionally policy of economic democracy and ignoring unintentionally policy of creativecity, which seem to have an inherent relationship with that of creative economy.

1. 서 론
2. 창조경제와 창조도시 정책 및 담론 연구방향
3. 창조도시 정책과 담론의 등장과 전개과정
4. 창조경제 정책과 담론의 등장과 전개과정
5. 창조경제 정책 및 담론의 한계
6. 결론
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