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식민지기 허준 문학의 "추리소설적 성격" - 「탁류」, 「야한기」를 중심으로
Colonial, "Mystery nature" of Heo Jun`s literary
이행선 ( Haeng Seon Lee )
한민족문화연구 48권 445-484(40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2211899

허준은 ‘잔등’에서 귀환의 국면을 균형 잡힌 시선으로 그려냈었다. 그렇다면 그는 식민지 시대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었을까. 기존 연구가 해방기의 작품에 집중되면서 상대적으로 식민지기 작품에 대한 관심은 낮았다. 일본어로 쓴 「습작실로부터」와, 「습작실에서」가 해방 후 「속 습작실에서」와 깊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이들 작품이 작가의 창작방법과 세계관의 변화의 측면에서 조명되었을 뿐이다. 해방 이전 작품은 내용의 측면에서 주로 고독, 침묵, 자아 등이 분석되어 왔다. 또한 형식적 측면에서는 모더니즘과, 습작 과정에서의 개작 등이 논의 되었다. 이 시기 허준 문학은 고독으로의 침잠과 일제에 대한 소극적 저항이 결국 암묵적 순응으로 이어졌다는 인식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인식은 허준이 해방 이후 작품에서 보여주는 윤리적 태도를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 ‘고독’ 그 자체가중요한 것이 아니라 고독을 조장하는 요인에 대한 재조명이 필요하다. 허준이 해방기의 사회상을 관찰했듯 내면에 착목한 모더니즘 문학의 특성에 주목해왔던 경향에서 벗어나 그가 식민지 조선의 무엇을 바라봤고 그것을 독자와 어떤 방식으로 소통하고자 했는지 구명하고자 했다. 본고에서는 식민지기 허준이 독자에게 전달하려는 의도를 추리서사적인 형식으로 표현하고자 했다는 것을 밝히고자 했다「 추리 서사에는 사건이 필요하다. ‘복색’ 사건과 ‘의식상실’ 사건을 중심으로 작품을 분석했고, 그 과정에서 드러나는 사건의 진실을 통해 소설의 의도를 재해석하고자 했다.

Heo Jun had painted aspects of feedback in the balanced line of sight in the "Jandeung". Then, I wonder if he had seen how the colonial era. In existing research was concentrating on work release period. Relatively researcher interest in works of colonial era was low. "From the study room" and "in the Etude room", there was a deep-related and came out after the release as "in Etude room". So, just these works have been studied in terms of the change in creative ways and reality recognition of writer. Release before work, in terms of content, mainly solitude, silence, ego has been analyzed. Also, in the formal aspects, and modernism and adaptations in the course of study was mainly discussed. This time his literature, is the most characteristic of lonely life of colonial and passive resistance to Japan. Finally recognition that Heo Jun has an implicit adaptation of colonial regime is common. However, such recognition, Heo Jun can not be ethical attitude correctly description shown by the work of post-release. Loneliness itself is not important. It is required reevaluation of the factors that facilitate rather lonely. As was observed social image of his release period, it is necessary to get out of studies tend to focus on the inner surface when accessing modernism literature. So, he saw look at what colonial Korea, he was trying to investigate how tried to communicate it with the readers. In this paper, Heo Jun in colonial era to take advantage of the mystery novel specific format, it was revealed that it was trying to express a message to the reader. The mystery, there is a need for the incident. I tried to re-interpret the intent of the novel through the "dress" were analyzed incidents and works around the incident "loss of consciousness", the truth of the incident appearing in the process.

1. 들어가며
2. ‘침묵-소문’의 추리적 서사와 진실
3. 침묵을 조성하는 사회, ‘소문-가부장적 이데올로기’와 ‘관리ㆍ유지천민자본주의’
4. 나가며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