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진로선택에 당면한 고등학생들의 간호이미지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과 그 유형의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학생은 최적의 대학진학을 이루고 간호교육기관에서는 사명감 있는 우수한 학생의 유치를 위한 전략을 탐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방법은 Q-방법론을 적용하였고 남, 여 고등학생 40명을 P-표본으로 하여, 이들이 31개 Q-표본을 7점 Q-표본 분포도상에 강제분포 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C-QUANL program 에 의한 주 인자 분석법으로 처리하였다. 분석 결과, 고등학생들의 간호이미지에 대한 3가지 유형을 발견하였으며, 이들에 의해 설명된 전체 변량은 43.1%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고등학생들의 간호이미지에 대한 주관성은 간호란 환자를 돌보고 자신의 일에 대한 성취감과 행복감의 추구를 중요한 요소로 여기며 미래 전망이 밝은 전문 직업으로 인식하는 ‘직업적가치중시형’, 간호사를 착하고 순결하며 박애정신을 지닌 직업인으로 느끼지만 교대근무의 작업환경, 미래전망과 발전, 경제력, 취업전망 등, 간호직의 사회적 이미지를 낮게 인식하는 ‘전통적 간호이미지 고착형’, 간호직의 미래발전과 전망, 경제력 등의 긍정적인 사회적 이미지를 지니면서도, 한편으로는 간호의 독자성, 자율성, 그리고 간호사의 소명의식과 윤리관 등의 전문적 이미지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간호가치 양가감정형’으로 확인되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on the perceived subjectivity toward nursing images of high school students using Q Methodology. Methods: Forty high school students classified 31 selected Q-statements into 7 points standard. Th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 PC-QUANL program. Result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dentified 3 types of nursing images of subjects, and named by researcher. Type Ⅰ is ‘Pursuit of professional value’, Type Ⅱ is ‘Adherence of traditional nursing images’, and type Ⅲ is ‘Ambivalent on nursing value’. The results suggest that nursing images of high school students should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an occupation worthy and careers selec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different approach to achievement and welfare of the future of nursing care, social worthy recognition, and human dignity are recommended based on the three types of nursing images among high school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