걷기는 인간의 원초적 이동수단이나, 이동 환경 안에서의 걷기는 그 중요성에 비해 큰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그러나 최근들어 웰빙의 수단으로서의 걷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걷는 환경’에 대한 연구 및 이동 과정에 대한 디자인 연 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된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트레킹 코스를 조사 대상으로 하여, 문헌적 연구 방법 및 관련자/이 용자 인터뷰, 현장 조사 등을 통하여 국내외 트레킹 코스에서의 디자인 시스템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해외 트레킹 코스 현황을 살펴보고, 그 대표적 사례로서 스페인 산티아고 순례길, 미국 존 뮤어 트레일, 일본 시코쿠 88사 찰 순례길의 현황 및 아이덴티티, 사인 시스템, 기타 디자인에 관련된 사항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국내 트레킹 코스 중 제주 올 레길, 지리산 둘레길, 동해 해파랑길을 대표적 사례로 선정하고, 그 현황 및 아이덴티티, 사인 시스템, 기타 디자인에 관련된 사항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사례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트레킹 코스의 조성 및 디자인 시스템의 구축에 있어 유념해야할 사항은 첫째, 아이덴티티를 적절히 활용해야 한다는 점, 둘째, 아이덴티티는 쉽게 활용될 수 있어야 한다는 점, 셋째, 디자인에 있어 감성이 중요하다는 점, 넷째, 이용자들을 위한 심볼이나 장치가 필요하다는 점, 다섯째, 완주자를 위한 배려가 있어야 한다는 점, 여섯째, 트레킹 코스 가 가진 환경의 특성을 고려한 디자인 및 제작이 필요하다는 점 등이다.
Despite that walking is the most basic method of travel, the study on walking in travel environments has hardly carried out in spite of its importance. However, walking, as a means of wellbeing, is getting attention in the recent years, and now it is the time to make a study on the ‘walking environment’ and travel process in order for the better design. Therefore in this paper, trails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and case study on trails in Korea and overseas was performed through the literature, interview with stakeholder and user, and fieldwork. In order to study design system in trails overseas, three trails were selected; Camino de Santiago in Spain, John Muir Trail in the United States, and Pilgrimage to the 88 Sacred Places of Shikoku in Japan. For the cases in Korea, Jeju Olle Trail, Jirisan Trail, and East Sea of Korea Haeparang Trail were selected. Outlines of each trail, their identities, sign systems and other design related elements were investigated. As the research result in this case study, six suggestions made for the better development of design system in trails are as follows: 1. Identity has to be utilized in proper way. 2. Identity should be easily adaptable in design. 3. Sentiment is an important element to consider in design. 4. Symbol or any kind of distinguishing element are necessity for trekkers to use. 5. Any form of compliment is recommended to provide to the trekkers who completed the full trekking course. 6. A trail’s environmental nature has to be thoroughly considered in setting up and manufacturing the desig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