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12
216.73.216.112
close menu
KCI 등재
한국 신화와 그리스 로마 신화의 인간관 및 교육관 비교를 통한 유아교육사상적 함의 모색
Human development and educational beliefs in korean and greek-roman mythology: implications in ligh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김은주 ( Eun Ju Kim )
UCI I410-ECN-0102-2015-300-002243650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신화란 신들의 이야기지만 결국은 인간에 대한 이야기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 화에 나타난 인간에 대한 원형적 이미지를 밝힘으로써 교육적 함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의 신화와 그리스 로마 신화에 나타난 인간관과 교육관을 비교 분석하였다. 한국 신화와 그리스 로마 신화를 비교분석하는 이유는, 한국인이 본래 가지는 인간과 교육에 대한 관점은 한국 신화를 통해, 서양의 교육사상을 기반으로 형성된 유아교육사 상은 그리스 로마 신화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연구결과, 한국 신화에서 인간은 곧 신으로 묘사되며, 인간은 세속적 교육이 아니라 스스로 고난극복을 통해 성장한다고 보았다.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인간은 신의 기원과 본성을 지니면서도 양면적, 이중적, 한정적 존재이며, 인간은 끊임없이 교육을 받으면서 고난을 헤쳐나가야 하는 존재로 보았다.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적 가치보다는 서양의 교육사상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유아교육사상 분야에 새로 운 시각을 제공해주는 단초가 될 것이다.

Mythology is the stories of the gods, but ultimately these stories are reflective of humanity. This research began in such belief that by revealing the fundamental images of humans, it would show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Human development and educational philosophies that appeared in Korean and Greek Mythologies were compared and contrasted in order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philosophies, which western educational beliefs a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ed that Korean Mythology displayed humans as gods and that the humans did not learn by mundane, worldly teachings, but rather they were self-taught through hard experience. The Greek-Roman Mythology described humans as beings that possess the basis and nature of gods, as well as have bipolar, dual, and limited natures, and they must be taught through hardships. This research was the starting point that suggested new viewpoint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which is mostly based on the educational philosophies of the West, more so than those of the Korean tradition.

Ⅰ. 서 론
Ⅱ. 한국 신화의 인간관과 교육관
Ⅲ. 그리스 로마 신화의 인간관과 교육관
Ⅳ. 한국 신화와 그리스 로마 신화 비교를 통한 유아교육사상적 함의 모색
Ⅴ.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