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53
216.73.216.153
close menu
KCI 등재
음악과 정서, 그리고 몸: 신경미학적 접근
Music, Emotion, and Body: An Approach from Neuroaesthetics
정혜윤 ( Hye Yoon Chung )
미학 80권 303-344(42pages)
UCI I410-ECN-0102-2015-100-002242344

이 글은 청자의 ‘머리’ 혹은 ‘마음’ 쪽에 치우쳐진 채 청자의 ‘몸’이 담당하는 적극적인 역할을 간과해 온 분석적 전통의 현대 음악미학의 정서에 관한 담론이 ‘음악을 온몸으로 느낀다’는 우리의 직관에 맞지 않음에 주목하여 음악과 정서에 관한 담론에서 청자의 몸에 정당한 자리를 내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먼저 분석적 전통의 현대 음악미학의 대표적인 논의들인 환기론, 외양적 정서주의, 그리고 로빈슨의 이론의 핵심 주장들을 살펴본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들에서 음악에 대한 청자의 신체적 관여는 어떻게 이해, 평가되고 있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그러고 나서 이 글은 음악에 대한 경험에서 청자의 ‘몸’이 기여하는 바를 신경과학과 인지과학, 그리고 발달심리학 등의 연구성과들을 통해 밝히는데, 이러한 작업은 특히 ‘거울뉴런’과 콕스의 ‘흉내내기 가설’에 의거하여 이루어진다. 거울뉴런이 밝혀주는 바와 흉내내기 가설의 제안에 따르면 음악에 대한 청자의 경험은 매순간 운동감각적인데, 음악에 대한 운동감각적 반응은 음악에 대한 정서적 경험의 토대가 된다. 이로부터 이 글은 현대 음악미학의 정서에 관한 담론의 초점이 청자의 신체적 관여를 중심으로 재설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The contemporary philosophical discourse on music and emotion from the analytical tradition is biased towards listeners’ ‘mind’ without considering the role listeners’ ‘body’ plays and thereby conflicts with our ordinary insight of ‘feeling music through our whole body.’ This essay aims to draw due attention to listeners’ body and to reset the focus of the contemporary philosophical discourse on music and emotion from listeners’ mind onto their ‘body.’ For this purpose, this essay first introduces the core ideas of the representative theories of the contemporary philosophical discourse on music and emotion from the analytical tradition such as arousalism, appearance emotionalism, and Jenefer Robinson’s theory. Next, this essay critically reviews how listeners’ bodily involvement is understood and evaluated in each of those theories. Then, this essay illuminates listeners’ bodily involvement in light of what current achievement in neuroscience, cognitive science, and developmental psychology reveals with special attention to ‘mirror neurons’ and Arnie Cox’s ‘Mimetic Hypothesis.’ According to what ‘mirror neurons’ imply and what ‘Mimetic Hypothesis’ suggests, listeners’ experience of music is motor-sensory in every moment and listeners’ motor-sensory response to music is a foundation of listeners’ emotional experience of music. Ultimately, this essay argues that the philosophical discussion on music and emotion should consider listeners’ bodily involvement in music at its core.

Ⅰ. 서론
Ⅱ. 환기론과 외양적 정서주의
Ⅱ. 로빈슨의 포괄적 이론
Ⅳ. 음악의 정서적 경험과 몸
Ⅴ.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