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통합재난관리이론의 분석적 해석 -재난관리체계 설계에의 정책적 함의--
Analytical Interpretation of Integrated Emergency Management Theory: Policy Implications for Designing Disaster Management System
여차민 ( Cha Min Yuh )
UCI I410-ECN-0102-2015-300-002278386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재난관리체계의 토대를 이루고 있는 통합재난관리의 논거를 분석적으로 해석하여 재난관리체계 설계를 위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문헌 검토를 통해 재난의 유사성, 재난발생 단계별 관리의 이점, 분산관리의 비효율성, 단일 총괄조직의 필요성 등을 통합재난관리의 논거로 정리하고 이를 분석적으로 해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다시 종합적으로 토론하여 정책적 함의를 도출한 후, 국민안전처 신설 및 오룡호 침몰사고 사례에 적용하여 그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정책적 함의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난관리체계의 설계 시 기계적 재난관리 원칙을 적용하기 보다는 재난의 특성과 재난발생 단계의 가변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둘째, 통합재난관리가 대응에 최적화된 체계임을 감안하여 재난관리체계 설계 과정에서 다양한 재난이론 및 패러다임을 수용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통합재난관리가 역사적?정치적 산물이라는 점에서 우리나라 재난관리체계의 역사적?제도적 맥락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재난관리체계를 설계하여야 한다.

Since the Sewol ferry disaster, Criticisms proposed on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Korea might be showing the necessity of profound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n IEM(Integrated Emergency Management) which has become the foundation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Korea.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policy implications for designing a disaster management system by analytically interpreting the rationales for IEM which is somewhat normativ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dentified five rationales(such as similarity among types of disasters, benefits of 4 phase disaster management, inefficiency of diversified management, necessity of comprehensive agency) for IEM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suggested policy implications as followings by analytically interpreting these five rationales and comprehensively debating on the outcomes of the interpretation. Firstly, the government should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disasters and the variableness of disaster phases rather than utilize the principles of disaster management by rote. Secondly, various theories and paradigms on disaster management need to be taken in the process of designing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considering that IEM is an optimal system especially to response phase. Finally, administrative, political, and historical characteristics in Korea should be counted in when designing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considering that IEM is the product of historical and political conditions of a country.

Ⅰ. 서론
Ⅱ. 통합재난관리의 논거: 이론과 실제
Ⅲ. 통합재난관리 논거의 분석적 해석
Ⅳ.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