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후보
소비문화 시대의 독서
Reading in the age of Consumption culture
조동성 ( Dontg Sung Cho )
독서연구 16권 19-27(9pages)
UCI I410-ECN-0102-2015-000-002288385

인간이 노동으로부터 해방되고, 물질적 궁핍으로 벗어나면서 소비는 삶에서 가장 중요한 목적이자 이유로 자리잡았다. ‘소비’는 이제 생존을 위한 필수적 행위가 아니라, 인간에게 행복을 가져오는 여가 행위가 되었다. 여가행위를 통해 얻는 정신적 여유와 안정은 급격하게 변화하는 정치, 경제, 사회 안에서 개인문제, 대인문제, 집단 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제를 능동적으로 해결하게 해준다. 여가행위 중에서 창조성을 습득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독서이다. 독서는 심리적 안정과 정보의 수용, 그로 인한 독창성계발을 통해서 문제해결과 대처능력의 발달을 가져오고 심리적 곤란을 해소시켜 준다. 지식의 반감기가 점점 줄어드는 시대를 사는 현대인은 더욱 빨리 새로운 정보를 받아드려야 한다. 자신의 삶을 풍부하고 윤택하게 하고 인간으로서의 존재이유를 찾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독서이다. “나는 독서한다. 고로 존재한다.”

Freed from labor and poverty, human beings have now turned to consumption as one of the more important objectives in life and reason for living. Consumption is not just a necessary act to survive but a means to enjoy leisure for happiness. The emotional composure and stability through leisure allow people to actively solve individual, interpersonal, and group problems in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that are drastically changing. Reading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acquire creative power among various leisure activities. Reading helps people develop an ability to deal with problems and clear up mental difficulties through development of originality that is formed from psychological stability and acceptance of new knowledge. People today should absorb new information more quickly in the midst of shortened half life of knowledge. Reading is the most important means for making our lives abundant and prosperous, and for enabling us to find reason for living. “I read, so I exis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