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82
216.73.216.182
close menu
KCI 등재
2SFCA 기반 공간적 접근성의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 구미시 노인복지시설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Variation of Spatial Accessibility Pattern Based on 2SFCA : A Case Study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in Gumi City
안재성 ( Jae Seong Ahn ) , 김이배 ( Lee Bae Kim ) , 박미라 ( Mi Ra Park )
DOI 10.11108/kagis.2014.17.4.112
UCI I410-ECN-0102-2015-500-002287010

본 연구에서는 구미시를 사례로 매개 변수값의 변화에 따른 2SFCA(2 Step Floating Catchment Area) 기반 접근성 변화의 지역 특성을 분석하였다. 2SFCA는 기본인구가 증가하면 접근성이 감소하고, PPR(Provider to Population Ratio)이 증가하면 접근성이 증가하는 일반적인 경향을 보였다. 구미시 내부의 지역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민감도 분석 과정에서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지역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미시 읍면 외곽지역처럼 노인복지시설과 멀리 떨어져 있는 지역은 매개 변수값의 변화에 따른 접근성 변화가 미미하였다. 둘째, 기존 노인복지시설 주변 지역은 매개 변수값의 변화에 따라 접근성이 개선되거나 약화되는 다양한 양상을 보였다. 노인인구가 많고 노인복지시설이 밀집해 있는 동 지역에서는 PPR의 변화에 따른 접근성 변화가 크고, 나머지 지역은 기본인구 변화에 따른 접근성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셋째, 매개 변수값이 커지면 여러 곳의 노인복지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구미시 중앙구역에서 전반적으로 접근성이 양호해지는 양상을 보였다. 향후, 2SFCA 기반의 접근성 분석 과정에서 매개 변수값 선택을 위한 신중한 시나리오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variation of spatial accessibility pattern based on 2SFCA(2 Step Floating Catchment Area) by changing its parameter values. The general pattern of the result of 2SFCA analysis shows that the spatial accessibility value is decreased by growing base population, while the spatial accessibility value is increased by growing PPR(Provider to Population Ratio).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local pattern in the Gumi City are founded by cluster analysis on the sensitive analysis procedure. Firstly, the variation of the accessibility values is insignificant in the fringe area of the Gumi City. Secondly, the variation of the accessibility values is diverse in the surrounding area of the welfare facilities. Especially, Dong areas are more sensitive to PPR variation, while others are more sensitive to base population variation. Thirdly, the larger parameter values, the more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the central areas, where elder people can access welfare facilities more easily, is improved. It needs to choose parameter values with caution to analyse spatial accessibility based on 2SFCA.

서 론
관련이론 검토
분석 방법
분석결과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