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보행가로 내의 야간조명의 물리적 특성과 일반인 인식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보행가로 내의 야간조명의 물리량을 측정하였으며, 이용자의 이용행태, 야간조명의 만족도 및 야간경관 이미지 평가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광원의 면적과 광원 갯수는 구간별로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총량휘도, 평균휘도는 구간별 차이를 보였고, 실내등이 광원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다. 이용자 중 남성, 10대, 학생이, 이용행태별로는 월 1~2회, 18~20시, 모임 목적의 이용자가 타 그룹에 비해 야간조명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야간조명의 물리적 요소 중 광원개수, 광원면적, 최대휘도는 야간조명의 만족도와 야간 경관이미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총량휘도 및 평균휘도는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총량휘도 및 평균휘도가 감소할수록 야간조명의 만족도와 함께 경관이미지의 긍정적 평가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야간경관의 정책 수립 시 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general people`s perception. In this study, the physical quantities of artificial lighting were measured from the visual point of the pedestrian and general public perception including preference and satisfaction was examin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total luminance and mean luminance had different value in each sit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rea and number of light source between sites.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are affected by indoor lighting. In the group of respondents, 10s people, male, students, meeting, 1~2 times a month and 18:00~20:00 had higher satisfaction compared to other groups respectively. A total luminance and mean luminance ga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physical quantities of artificial lighting and the satisfaction on night landscape. With increase in total luminance and mean luminance, the satisfaction was lowered.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se factors on the future policies of nightsca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