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오늘날 다양한 소셜 미디어 이용현상의 의미를 욕망론의 관점에서해명해 보았다. 특히, 들뢰즈·가타리의 무의식적 욕망론에 입각하여 소셜 미디어이용현상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무의식적 욕망론의 특징은 소셜 미디어를 “주체(인간)-대상(기계)”이라는 이원적 구도에서 “누가” “무엇을” “어떤 목적으로” “어떻게” 라는 기능적이고 도구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기계-인간 연속체”라는 일원적 구도로 접근한다는 점이다. 일원적 구도에서는 인간도 기계도 자연도 없이 오로지 이것이 저것을, 혹은 저것이 이것을 접속하고 생산하는 과정이있을 뿐이다. 그것은 소셜 미디어에 대한 특정한 이해관계에 얽매인 당사자의 입장에서 소셜 미디어를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가능한 한 관점을 배제한 채 무관심하고 초연한 입장에서 소셜 미디어 문화 현상을 바라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경우주위에서 목격되는 다양한 소셜 미디어 이용행위를 몇 가지 유형으로 범주화하는것이 가능하며 각 유형의 문화적 의미를 그들이 제시하는 다양한 욕망의 배치로설명하였다.
소셜 미디어, 욕This paper explores the cultural phenomenon of social media inthe light of desire theory. To do this, this paper adopts the perspectivewhich consider social media in terms of the “machine-humancontinuum” instead of as a “subject (human) - object(Machine)” dualistic composition. The dualist focus on the functionof the instrument on the base of “Who”, “What”, “for whatpurpose” and “by how” problematic. But the unitarist considersneither human nor machine without relationship. They see onlyprocess of production that are connected to it in terms of access tothe unconscious desire. This approach is not by way of a particularinterest in social media bounded to the perspective of theparties, but indifferent and detached perspective position. I intendedto explain the cultural phenomenon of social mediathrough Deleuze & Guattari”s theory of desi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