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82
216.73.216.182
close menu
대학생의 자기 자비와 생활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반추와 우울의 매개 역할
The Influences of Self-Compassion and Life Stress on Suicidal Ideation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Mediating Roles of Rumination and Depression
노상선 ( Sang Sun Noh ) , 조용래 ( Yong Rae Cho ) , 최미경 ( Mi Kyung Choi )
UCI I410-ECN-0102-2015-100-00229854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 자비와 생활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기제를 밝히는 것이다. 선행 연구와 문헌들을 바탕으로, 자기 자비가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반추의 하위 유형인 수심과 우울증상이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과, 자기 자비가 수심과 우울증상을 거쳐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이 생활 스트레스의 수준에 따라 다를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으며, 이 가설들을 종합한 매개조절모형(수심)을 상정하였다. 대안모형으로 매개조절모형(숙고)과 이중 매개모형(수심)을 각각 상정하였다. 대학생 340명의 자기 자비, 생활 스트레스, 반추, 우울증상, 자살생각에 관한 자료를 바탕으로, 매개조절모형들의 적합도, 그리고 반추와 우울증상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경로분석과 bootstrapping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수심을 매개변인으로 하는 매개조절모형(수심)이 숙고를 매개변인으로 하는 매개조절모형(숙고)보다 적합도가 더 우수하였고, 수심만이 자기 자비와 우울증상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하지만, 자기 자비와 생활 스트레스의 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다. 자기 자비와 생활 스트레스가 서로 독립적으로 수심과 우울증상의 매개를 거쳐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된 이중 매개모형(수심)은 수집한 자료에 아주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들은 자기 자비가 생활 스트레스의 수준과는 무관하게 자살생각에 대한 일종의 보호요인으로 기능하며, 그 과정에서 수심과 우울증상이 매개역할을 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The current study sought to shed light on the specific mechanism by which self-compassion and life stress have influences on suicidal ideat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s, we hypothesized that brooding (one subtype of rumination) and depression would play mediating roles in the link between self-compassion and suicidal ideation, and life stress would moderate the effect of self-compassion on suicidal ideation. Thus, a mediated moderation model (brooding) and two alternative models, a mediated moderation model (reflection) and a dual mediation model (brooding) were proposed. A total of 340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the measures of self-compassion, life stress, ruminati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Path analyses and bootstrapping were used to evaluate the mediated moderation models and the mediational effects. Results showed that the mediated moderation model (brooding) was better than the mediated moderation model (reflection), and only brooding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elf-compassion and depression. However, the interaction of self-compassion and life stress was not significant. Path analysis showed that the dual mediation model (brooding) in which self-compassion and life stress separately affect suicidal ideation through mediation of brooding and depression fit the data very we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lf-compassion may function as a protective factor for suicidal ideation, independently of the severity of life stress, and that brooding and depression may be mediators of its effec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